보안 취약점 선제적 발굴 및 대응…안정적 서비스 환경 조성 목표
자사 앱·웹 서비스 보안 취약점 발견·신고 시 평가 통해 포상금 제공
이미지 확대보기(왼쪽부터) 이동근 한국인터넷진흥원 디지털위협대응본부 본부장, 최진욱 카카오모빌리티 정보보호최고책임자(상무)가 지난 5일 업무 협약식 진행 후 사진촬영을 하고 있다. / 사진=카카오모빌리티
[한국금융신문 정채윤 기자] 카카오모빌리티(대표 류긍선)는 서비스 보안 강화를 위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신규 보안 취약점 신고포상제’의 공동 운영사로 참여한다고 6일 밝혔다.
신규 보안 취약점 신고포상제는 KISA가 기업 보안 취약점 발굴과 선제적 대응을 지원하는 ‘버그바운티 공동운영제도’의 일환으로 운영 중이다. 버그바운티는 소프트웨어 또는 웹 서비스 신규 보안 취약점을 발견해 신고한 화이트해커 등에게 포상금이나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제도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카카오 T, 카카오내비 앱·웹 서비스 보안 취약점을 선제적으로 발굴하기 위한 외부 보안 전문가 참여를 확대한다. 이를 안전하게 개선할 수 있는 체계도 구축한다.
특히 인공지능(AI)를 이용한 거대언어모델(LLM) 기반 해킹 공격, 자동화된 해킹 도구, 지능형 지속 위협(APT) 등 갈수록 고도화·지능화되는 해킹 위협에 효율적으로 대비하고 서비스 보안 수준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향후 양사는 ▲신규 보안 취약점 접수, 평가, 포상기준 수립 등 신고포상제 전 과정을 공동 운영하며, ▲신규 취약점 발견 시 보안패치 개발 등 대응 ▲신규 취약점 및 사이버 위협 탐지동향 등 정보 공유 분야에서도 협업한다.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