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ce 1992

대한민국 최고 금융경제지

닫기
한국금융신문 facebook 한국금융신문 naverblog

2025.07.25(금)

‘국대 AI 도전’ SKT, 자체 LLM으로 한국어 특화 AI 길 연다

기사입력 : 2025-07-24 09:41

  • kakao share
  • facebook share
  • telegram share
  • twitter share
  • clipboard copy

에이닷 엑스 3.1 2종, 에이닷 엑스 4.0 2종 모델 오픈소스화
반도체∙모델∙데이터∙서비스로 이어지는 AI로 국가대표 도전

SKT LLM 개발 타임라인. / 사진=SKT이미지 확대보기
SKT LLM 개발 타임라인. / 사진=SKT
[한국금융신문 정채윤 기자] SK텔레콤(대표이사 유영상닫기유영상기사 모아보기, SKT)이 그동안 확보한 거대언어모델(LLM) 기술 역량을 바탕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독자 인공지능(AI) 파운데이션 모델 사업’에 지원한다.

SKT는 독자 구축 LLM ‘에이닷 엑스 3.1’을 오픈소스 커뮤니티 허깅페이스에 공개했다고 24일 밝혔다.

에이닷 엑스 3.1은 340억개(34B) 매개변수를 기반으로 하며, SKT가 직접 모델 구축과 데이터 학습 등 전 단계를 직접 진행했다.

이번에 공개한 에이닷 엑스 3.1은 ‘에이닷 엑스 3.0’의 개선된 버전이다. 한국어 대화 성능에 집중했던 에이닷 엑스 3.0과는 달리 에이닷 엑스 3.1에서는 추론모델로의 확장 가능성을 고려해 코드와 수학성능을 향상시켰다.

이로써 SKT는 프롬 스크래치 방식의 에이닷 엑스 3.1 모델 2종(표준, 경량)과 대규모 학습(CPT)에 기반한 에이닷 엑스 4.0 모델 2종(표준, 경량)까지 총 4개의 모델을 오픈소스로 공개했다. 해당 모델들은 학술 연구나 상업 이용 등에 자유롭게 활용 가능하다.

에이닷 엑스 3.1(34B)은 자사 에이닷 엑스 4.0(72B)와 비교할 때 절반 이하 매개변수로 구성됐지만, 같은 한국어 서비스에 적용될 경우 약 90% 수준의 성능을 발휘한다. 사용자들은 에이닷 엑스 3.1과 4.0 중에서 사용 환경에 더 적합한 성능과 효율을 고려해 선택할 수 있다.

에이닷 엑스 3.1(34B) 모델은 대표적인 한국어 능력 평가 벤치마크 KMMLU에서 에이닷 엑스 3.1(69.20)는 에이닷 엑스 4.0(78.3) 대비 88% 수준을 확인했고, 한국어 및 한국 문화 벤치마크인 CLIcK에서는 에이닷 엑스 3.1(77.1)가 에이닷 엑스 4.0(85.7) 대비 90% 수준 성능을 기록했다.

SKT는 에이닷 엑스 3.1를 개발한 기술 역량을 바탕으로 정부 주도 AI 파운데이션 모델 사업에 참여한다.

SKT 컨소시엄은 반도체, 모델, 데이터, 서비스로 이어지는 독자 기술 기반 풀스택 AI를 구현∙개발하는 모델을 국내 AI 생태계의 다양한 기업들에 오픈소스로 개방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컨소시엄에는 국내 게임 상장사 크래프톤을 비롯해, 모빌리티 데이터 부분의 강자 포티투닷, 국내 최고 수준의 추론형 AI 반도체(NPU) 제작사 리벨리온, 전문 지식·정보 검색에 특화된 AI 에이전트인 라이너, AI 모델 데이터 안정성을 확보하는 기술을 갖춘 셀렉트스타 등 기업과 함께 서울대학교 연구실, KAIST 연구진도 참여한다.

또 SKT 컨소시엄이 만들어낼 AI 모델을 사용하기로 의향서를 낸 업체 중에는 SK하이닉스와 SK이노베이션, SK AX, SKB 등 SK그룹사 등이 있다. SKT가 주도하는 K-AI 얼라이언스에 참여 중인 몰로코(AI광고), 씨메스(제조AI), 가우스랩스(제조AI), 스캐터랩(감성AI) 등도 포함됐다.

이를 통해 SKT는 컨소시엄은 기존 규모를 뛰어넘는 초거대 AI 모델 개발 도전에 나선다. 텍스트뿐만 아니라 이미지, 음성, 비디오 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옴니모달’ 기술을 적용할 예정이다.

김태윤 SKT 파운데이션 모델 담당은 " 분야 선도기업들과의 컨소시엄 구성으로 향후 소버린 AI 분야에서 새로운 성과를 만들어낼 "이라며 "국내 AI 생태계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혁신적인 인공지능 모델을 선보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채윤 한국금융신문 기자 chaeyun@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issue
issue

정채윤 기자기사 더보기

산업 BEST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