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홈플러스는 8일 실제 인수에 필요한 자금에 대한 다양한 전망에 직접 입장을 밝혔다. 이 회사는 “홈플러스의 총 자산은 약 6조8500억원 부채는 약 2조9000억원으로 순자산 기준 약 4조원에 달한다”며 “여기에 홈플러스의 브랜드, 사업 지속 가능성, 보유 부동산 등을 반영한다면 전체 기업가치는 약 7조원으로 평가된다”고 설명했다. 이는 서울회생법원이 지정한 조사위원인 삼일회계법인이 제출한 보고서에 근거했다.
이들에 따르면 새로운 인수자는 기존 지분 인수에 대한 부담 없이 신규 자금 투입을 통해 곧바로 지배권을 확보할 수 있다. 홈플러스는 “인수자는 홈플러스 조사보고서 청산가치인 약 3.7조원 수준으로 평가해 인수하는 게 가능하다”고 말했다.
또 홈플러스는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 자산은 약 4조8000억원 규모”라며 “부동산 자산을 담보로 활용할 경우 일반적인 담보인정비율(LTV)을 적용하면 약 2조 원 내외의 자금 차입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현재 홈플러스 인수 구조를 ‘전세 낀 아파트’로 비유했다. 홈플러스는 “7조원짜리 아파트에 2조9000억원의 전세가 들어가 있고, 전 주인(대주주 MBK)은 자신의 지분을 포기하기로 했다”며 “새 매수자는 이 아파트의 부동산을 담보로 2조 원을 빌려 전세 일부를 갚고, 남은 일부만 현금으로 메운다면, 실제 현금 1조 원 미만으로 아파트를 소유할 수 있게 되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박슬기 한국금융신문 기자 seulgi@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