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엽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상무는 20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2025 한국금융미래포럼'의 패널토론에서 최근 기금형 퇴직연금 제도 논의 이슈와, AI 활용이 돌파구가 될 수 있을 지에 대한 민간 사업자 의견에 대해 이 같이 말했다.
김 상무는 "퇴직연금의 수익률을 좌우하는 것은 자산배분으로, 계약형이냐, 기금형이냐 라는 제도보다 자산배분을 바꾸는 게 중요하다"며 "DC(확정기여형)/IRP(개인형퇴직연금)에서도 원리금 집중이 80%가 넘는 상황에서 수익률 제고를 위해서는 자산배분을 변화시키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AI 서비스가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주목할 부분은 2000년대 금융시장 변화를 이끈 게 부유층 중심의 WM이 본격화 된 것 이었는데, 그때 고객 중심으로 바뀌었다며, 2025년 변화는 자산들의 연금화로 중산층이 주요 대상이 된다고 했다.
김 상무는 "일일이 PB(프라이빗뱅커)가 상담하지 않으면 안되는데, 이를 대신하는 것으로 AI 역할이 많이 늘어날 수 있다"며 "로보어드바이저 같은 서비스가 좀 더 활성화되고 고객에게 다가가면, 현재 단계에서 확장성이 크다고 본다"고 말했다.
김 상무는 "지금까지 퇴직연금 포트폴리오 구독 서비스 등 자문만 되고 실행까지 대신해 줄 수 없던 데서 변화하는 것이다"며 "아직 IRP에 대해서만, 또 한 해 900만원까지만 투자일임이 가능한 서비스가 두 세달 전부터 시작돼 인지 단계로, DC형 확장이나 금액이 확대되면 일반 근로자에게 더욱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정선은 한국금융신문 기자 bravebambi@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