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위원장 이재진, 이하 인신윤위)는 최근 중앙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유홍식 교수 연구팀에 의뢰해 '인터넷신문 윤리의식 조사·연구'를 진행한 결과, 이 같은 조사 결과가 나왔다고 11일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이용자들은 인터넷신문의 선정성 문제를 평균 4.02점(2024년 4.01점)으로 높게 평가했다. 또한 갈등적 내용이나 특정 정치이념에 편향된 '갈등편향성' 역시 4.05점(2024년 3.88점)으로 나타났다.
인터넷신문 종사자들도 자사 보도의 선정성에 대해 3.5점(2024년 3.52점), 갈등편향성에 대해서는 3.44점(2024년 3.39점)으로 문제를 인식하고 있었다.
이용자들은 인터넷신문이 사회문제를 의제로 제시하는 기능에 대해 3.24점(2024년 2.81점)으로 높게 평가했다. 그러나 사회적 약자를 대변한다는 평가에서는 2.29점(2024년 2.46점)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기록했다.
인터넷신문의 대표적 비윤리적 행위로 이용자들은 '광고를 기사처럼 보도하는 행위'(4.09점)를 꼽았다. 이어 '허위 조작 기사 작성'(4.08점), '사실 미확인 보도'(4.04점) 순으로 심각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윤리적 행위에 대한 이용자 전체 평균 점수는 3.89점이었다.
광고 관련 항목에서는 이용자들이 '이용자 오인 광고'(4.3점)를 가장 불편하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해당 광고와 관련 없는 제목으로 클릭을 유도하는 사례를 의미한다. 이어 '허위·과장 광고'(4.14점), '기사와 혼동되는 광고'(4.11점)가 뒤를 이었다.
인신윤위의 자율규제 강화 필요성에 대해서는 이용자 3.62점(2024년 3.81점), 종사자 3.81점(2024년 3.44점)으로 모두 3.5점을 넘어섰다. 다만, 현재 인신윤위의 자율규제 활동에 대한 평가는 이용자 2.4점, 종사자 4.16점으로 차이를 보였다. 이용자는 다소 부정적, 종사자는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조사를 총괄한 유홍식 중앙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는 "인터넷신문에 대한 이용자의 신뢰를 높이기 위해서는 비윤리적 행위에 대한 자율규제 강화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자율규제 환경에 대한 이용자와 종사자 간 견해 차이를 줄이기 위한 소통과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사 결과는 인신윤위가 마련한 '제2회 인터넷신문 윤리주간 2025' 기념 세미나에서 발표됐다.
이창선 한국금융신문 기자 lcs2004@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