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은 6일 업비트 운영사인 두나무, 빗썸, 코빗, 코인원, 스트리미 등 5개 가상자산사업자의 최고경영자(CEO) 및, 최고기술책임자(CTO), 또 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 닥사(DAXA) 등과 간담회를 열고, 최근 발생한 가상자산사업자의 전산장애 원인 및 관련 리스크요인 등을 점검하고, 대응 방향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주요 원인에 따른 재발방지 일환으로 목표한 서버 등 장비 증설계획 이행을 완료했다. 일부 미이행된 증설계획, 개선사항도 올해 상반기 중 이행할 계획이며, 추후 점검키로 했다.
증설에 따라 거래소 별 동시접속자 수용 능력은 업비트가 50만명에서 90만명, 빗썸이 10만명에서 36만명, 코인원은 10만건에서 50만건으로 늘어났다.
코인원의 경우, 보상신청 2건 모두 보상 제외했다.
감독당국은 합리적 보상 내규를 마련하여 이를 근거로 일관되게 처리할 필요가 있다고 제시했다.
업비트에 대해서는 보상 유형 구체화에 따른 보상을 실시하였으나, 보상금 산정방식의 일관성 확보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종오 금감원 디지털·IT 부원장보는 간담회에서 가상자산사업자의 IT 안정성 확보와 이용자 피해보상에 대한 경영진의 깊은 관심과 주의를 당부했다.
금감원은 "24시간 운영되는 가상자산시장 특성에 걸맞은 IT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할 예정이다"며 "또한, 금융위등과 긴밀히 협조하여 가상자산사업자의 전산시스템 안정성 확보의무 등 관련규제 도입방안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정선은 한국금융신문 기자 bravebambi@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