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도는 미국 다음 가는 현대차의 핵심 해외 시장이다. 중국 부진과 러시아 철수 이후 중요성이 더 커졌다. 현대차 인도법인(HMI)의 작년 매출은 10조6346억원이다. 미국(HMA, 40조8238억원)과 유럽(HME, 17조6574억원)에 이은 세번째로 큰 규모다. 인도법인의 순이익은 9211억원으로 미국(2조7782억원)에 이은 두번째다. 중국을 제외한 5개 해외 법인의 합산 순이익(5170억원)보다도 많은 수익성을 기록했다.
현대차의 작년 판매량은 60만2111대로 회사의 연간 최다 판매 기록을 갈아치웠다. 점유율은 14.6%로 시장 2위다. 1위는 인도·일본 기업이 합작한 마루티 스즈키로, 이 회사는 2003년 먼저 인도 증시에 상장했다. 현대차는 인도 증시에 진출하는 두 번째 자동차 회사다.
현대차는 내년 하반기 인도에서 연 100만대 생산 체제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기존 첸나이공장(82만4000대)에 더해 지난해 GM으로부터 인수한 푸네공장 가동을 앞두고 있다.
이와 함께 전략형 전기차 크레타EV 등 2030년까지 5개의 전기차 모델을 투입해 산업 전환기에 주도권을 잡겠다는 청사진을 내세웠다. 전기차 판매뿐만 아니라 전기차 충전소 확대, 인도 배터리 기업(엑사이드 에너지)와 협업 등 전동화 생태계 구축을 주도하겠다는 전략이다.
지난주 진행된 현대차 인도법인 IPO에서 흥행에 성공하며 4조5000억원 가량을 조달할 전망이다. 인도 증시 역대 최대 규모다. 현대차는 신주 발행이 아닌 보유한 인도법인 지분 100% 가운데 17.5%를 공개 매각 하는 방식으로 IPO를 진행했다. 당장 손에 쥘 수 있는 현금 조달을 우선시한 셈이다.
곽호룡 한국금융신문 기자 horr@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