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신사 스토어', 성수동 상징 '대림창고'에 오픈
MZ여성고객·외국인 고객이 주요 타깃층
희소성 높은 스니커즈도 함께 선봬
무신사 "성수동 랜드마크로 거듭" 기대
이미지 확대보기무신사가 성수동에 세 번째 편집숍 무신사 스토어&대림창고을 연다. /사진제공=무신사
[한국금융신문 박슬기 기자] 무신사가 성수동을 상징하는 ‘대림창고’에 편집숍 ‘무신사 스토어’를 오픈했다. 50년 역사를 자랑하는 대림창고에 터를 잡으며 성수동의 랜드마크로 거듭나겠다는 전략이다. 성수동에만 10개 이상의 매장과 본사, 사무실을 운영하고 있는 무신사는 외국인 관광객과 MZ여성 고객을 공략해 무신사의 존재감을 더 키우겠다고 밝혔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무신사는 오는 13일 오프라인 편집숍 ‘무신사 스토어 성수@대림창고’를 정식 오픈한다. 대구, 홍대에 이어 선보이는 세 번째 편집숍으로, 가장 주목받는 여성 브랜드와 글로벌 스니커즈 브랜드를 큐레이팅한 편집숍이다. 면적은 약 213평으로, 임대 형식으로 운영한다.
무신사 관계자는 대림창고를 세 번째 편집숍으로 낙점한 이유에 대해 “1970년대에 지어져 정미소, 창고, 복합문화공간을 거쳐 50여 년간 자리를 지킨 공간”이라며 “성수동을 상징하는 대림창고에 오픈함으로써 성수동의 랜드마크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무신사 스토어 성수@대림창고’는 박공지붕, 붉은 벽돌, 철제 기둥 등 50여 년 된 대림창고 건축물의 기존 마감을 그대로 살려 독보적인 공간 분위기를 연출했다. 오랜 세월이 드러나는 건축물과는 대조적으로 무신사만의 플랫폼 개발 기술력을 활용해 차별화된 쇼핑 경험을 선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상품 택(tag)에 부착된 QR코드를 스캔하면 모바일 앱과의 실시간 연동을 통해 할인 혜택가, 상품 후기 조회가 가능하다.
이곳은 크게 4가지 공간으로 나뉜다. 입구에 들어서자마자 보이는 ▲팝업존 ▲숍인숍 ▲스니커즈존 ▲어패럴/액세서리/잡화/뷰티존 등이다. 대부분 20대 여성과 외국인 고객을 타깃으로 했다.
현장에서 만난 무신사 관계자는 “성수동에서 20대 여성과 외국인 구매 고객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타깃층을 설정했다”며 “이곳에서 판매하는 80%는 국내 브랜드고 20%는 신발 브랜드와 명품 브랜드 등이다. 외국인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택스리펀 기계도 설치했다”고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보기팝업존을 미디어월 안의 공간으로 들어가면 숍인숍 형태로 여러 K-브랜드를 선보인다. /사진=박슬기 기자
‘무신사 스토어 성수@대림창고’에서 판매하는 브랜드는 주기적으로 바뀌며 무신사 인큐베이팅 프로그램들을 통해 소개된 브랜드들도 선보인다. 무신사 관계자는 “K-신진 브랜드는 창작에 집중할 수 있고, 운영은 무신사가 지원할 수 있도록 한다”면서 “지금 소개하는 브랜드들도 무신사에 입점해서 좋은 성과를 낸 브랜드나 인큐베이팅 프로그램을 통해 잘 된 브랜드들이다”라고 했다.
제일 안쪽에는 한 벽을 신발로만 가득 채운 ‘스니커즈존’이 있다. 50여 개 브랜드의 700여 종 신발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스니커즈 월’이다. ‘무진장 신발 사진 많은 곳’이라는 커뮤니티로 시작한 무신사의 정체성을 담은 곳이기도 하다. 이외에 무신사가 전개하는 뷰티브랜드 오드타입도 소개한다.
아울러 희소성 높은 스니커즈 발매가 예정돼 있어 오는 13일 정식 오픈날 ‘오픈런’도 예상되고 있다. 이날에는 ‘아디다스 태권도 블랙 및 화이트’를 한정 수량 판매하며 14일과 15일에는 ‘푸마 스피드캣 GO’ 핑크, 화이트 2종과 ‘아식스 젤 카야노 14MSS-블랙:글래시어 그레이’를 오프라인에서 최초로 선보인다.
무신사 관계자는 “오랜 세월이 느껴지는 공간과 트렌드를 앞서나가는 브랜드가 조화를 이뤄 성수동만의 매력을 경험할 수 있는 유일무이한 편집숍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 무신사 스토어 성수@대림창고에서만 만날 수 있는 ‘톱 티어’ 브랜드 상품도 지속 소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