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신문 박슬기 기자] 이마트 죽전점이 ‘스타필드 마켓’이란 이름으로 재탄생했다. 이마트가 스타필드 DNA를 이식해 처음으로 선보인 쇼핑공간으로, 공연도 보고 책도 읽을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으로 탈바꿈했다. 경기침체, 1~2인 가구 증가로 대형마트 업황 부진이 심화하자 차별화된 요소를 접목해 위기를 타개하고자 했다. ‘스타필드 마켓’ 죽전점은 5개월 간의 대대적인 리뉴얼을 거쳐 29일 시민들과 만났다.
이마트가 죽전점을 ‘스타필드 마켓’ 리뉴얼 첫 번째 점포로 낙점한 데는 4가지 이유가 반영됐다. ▲전국 이마트 131개 매장 중 매출 최상위 ▲10대 이하 자녀 둔 가족 단위 패밀리 수요 풍부 ▲차량 도보 대중교통 접근성 우수 ▲신세계 사우스시티(신세계 경기점)와 도보 연결 등이다.
6000평의 압도적인 규모와 다양한 MD를 자랑하는 죽전점은 교통편은 물론 구매력 있는 소비자 수요가 높아 첫 번째 스타필드 마켓으로 낙점됐다.
서혁진 스타필드마켓 죽전점장은 ‘상권 특성과 고객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맞춰 장보기를 휴식으로 만들고자 했다“며 ”그로서리 쇼핑에 불편함 없이 구성했고 고객 중심의 공간을 확대 배치했다. 이를 통해 지역 커뮤니티 거점으로 거듭나고자 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스타필드 마켓 죽전점 공간 기획은 신세계 계열사 프라퍼티와 협업으로 이뤄졌다.
이번 리뉴얼의 핵심은 공간이다. 기존 직영매장 3800평(1만2540㎡)/임대매장 2200평(7260㎡)에서 직영매장을 2300평(7590㎡)으로 40% 가까이 줄인 반면 임대매장을 3700평(1만2210㎡)으로 70% 가까이 확장했다.
지금까지 매장 규모를 늘리고 판매시설을 촘촘히 배치하는데 집중해온 과거의 방식에서 과감히 벗어났다. 이마트 직영 매장들은 지하 1층으로 압축해 모으고, 고객이 즐길 수 있는 공간은 1층과 2층으로 확대했다. 이마트 관계자는 “고객들에게 공간을 내어줬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자연주의 인테리어를 통해 편안하게 쇼핑할 수 있도록 노력했다”라고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보기1층에는 캐치 티니핑 등 팝업스토어를 열 수 있는 장소도 따로 마련돼 있다. /사진=박슬기 기자
1층 특화공간은 150평(495㎡) 규모의 북그라운드를 중심으로 라운지와 각종 행사·공연 등을 즐길 수 있는 ‘이벤트 스테이지’으로 구성된다. 2층에는 키즈 패션브랜드 매장과 연결된 25평(약 82㎡) 규모의 ‘키즈그라운드(특화공간)’를 배치했다. 특화공간과 별개로 편안한 소파와 아기 침대, 기저귀 갈이대 등을 갖춘 약 21평(약 69㎡)규모의 유아휴게실도 마련해 유아 동반 고객 편의도 대폭 강화했다.
서혁진 점장은 “기존 이마트스러운 발상이었다면 이런 공간을 만들지 않았을 것”이라며 “좋은 입지를 물건 판매 공간으로 쓰지 않고 고객에게 돌려드리기로 했다”라고 말했다.
이마트는 기존 지하 1층과 1층, 2개 층에 걸쳐 있던 3800평(1만2540㎡) 규모의 매장을 지하 1층 2300평(7590㎡)으로 집약했다. 신선식품과 델리 구색을 강화한 그로서리 특화 매장으로 소비자들이 한 눈에 상품을 둘러 볼 수 있도록 전체적인 매대 높이를 낮췄다. 또 가격을 쉽게 파악 할 수 있도록 가격을 크게 표시해뒀고, 간결하면서도 찾기 쉽게 리뉴얼해 쇼핑 편의성을 높였다.
특히 ‘가성비’ 상품들을 한데 모은 코너들이 눈에 띈다. 신선 매장 한복판에 ‘홀세일존(Wholesale zone)’을 만들어 대용량 초저가 상품을 정상가 보다 20% 이상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도록 했고, 수요가 높은 각 분야 인기 상품들로 구성한 슈퍼프라이스존도 형성했다.
이마트 관계자는 “온라인과 가격경쟁력을 오프라인에서도 가져갈 수 있도록 할인 행사 코너들을 구성했다”라고 설명했다.
특히 어메이징 치킨 코너에는 매장 문을 열자마자 줄을 이을 정도로 사람들이 몰렸다. 어메이징 치킨은 업계 최저가로 주목받고 있는 대형마트 치킨이다.
한채양 이마트 대표는 “갈수록 치열해지는 유통 시장에서 마트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선 고객의 시간을 점유할 수 있는 매력적인 공간 구성이 필수”라면서 “스타필드 마켓은 이마트의 그로서리 강화 전략에 스타필드의 테넌트 운영 노하우를 결합시킨 최적의 쇼핑 공간이자 지역 주민들에게 여가와 쇼핑의 동시 체험을 제공하는 신개념 공간”이라고 강조했다.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