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오후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2024 한국금융미래포럼 : AI혁명과 금융혁신 3.0’ 패널토론에서 정유신 서강대 기술경영대학원장 겸 디지털경제금융연구원장은 이와 같이 말하며 AI 활용 확대를 강조했다.
실제 조사에 따르면 미국 등 글로벌 시장에서 가장 적극적으로 챗GPT를 활용하고 있는 분야는 은행이다. 이어 많은 양의 자료 분석이 필요한 증권, 보험 등이 생성형 AI를 실무에서 이용하고 있다.
이는 국내도 마찬가지다. KB, 신한, 하나, 우리은행에서는 생성 AI를 내부 자료 및 사무자동화 등에 활용하고 있다. 다만 일반 AI가 고객대면 등 은행 전반에 폭넓게 도입된 것과는 달리 내부 업무 활용에 집중돼 있다.
정유신 원장은 AI 위험 요소를 체크하고 대응방안을 마련하는 것은 필수적이지만 너무 보수적인 태도는 옳지 못하고 주장했다.
그는 “IT·디지털이 금융과 결합되면서 디지털금융(핀테크)이 탄생했듯이 AI(특히 생성형 AI)와 금융이 결합하면서 AI금융이 탄생하고 있다”며 “AI가 IT·디지털을 대체한다는 느낌을 줄 정도로 강력한 인프라가 될 가능성이 있기에 AI(생성 AI)를 도입·활용하고 정책 가이드라인을 제시함에 있어 보다 적극적이고 전향적 사고를 가져야 한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빅데이터 활용도 힘주어 말했다. 정 원장은 “현대 AI의 경쟁력은 데이터 자체라는 게 전문가들 평가인 만큼, 빅데이터의 구축뿐 아니라 적극적 활용을 위한 방안을 전향적으로 내야 한다”며 “개인정보보 보호를 이유로 빅데이터 활용을 소극화한다면 AI경쟁력은 물론 금융을 포함 전 산업의 경쟁력을 약화시킨 다는 것을 주지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그는 “디지털화와 생성형 AI의 활용으로 디지털화가 더욱 가속화되고 그에 따른 해킹, 정보보안의 위험이 커진다는 점을 고려하면 지금이야말로 보안을 공공재로 묶지 말고 적극적으로 산업화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홍지인 한국금융신문 기자 helena@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