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생활건강은 올해 1분기 매출이 1조7287억원으로, 전년(1조6837억원) 대비 2.7% 성장했다. 영업이익도 1510억원으로, 전년(1459억원)보다 3.5% 올랐다. 매출은 지난해 1분기 이후 4개 분기 만에, 영업이익은 2021년 3분기 이후 10개 분기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특히 1분기 당기순이익도 1131억원으로, 전년(963억원) 대비 17.4%나 뛰었다.
LG생활건강의 1분기 중국 매출은 2135억원으로, 전년(1942억원)보다 9.9% 성장했다. 지난해 중국 매출이 두 자릿수(-14.1%) 감소한 것과 비교하면 고무적이다. 이는 중국에서의 경기 회복에 기인한다. 중국 국가통계국이 발표한 중국의 1분기 경제성장률(국내총생산 증가율)을 보면 전년 대비 5.3% 성장했다. 이는 로이터 등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4.6%)보다 훨씬 높은 수치다. 중국 경기가 회복세를 보이면서 중국 뷰티 매출도 다시금 오른 것이다. LG생활건강은 일본에서도 전년(899억원)보다 3.6% 오른 931억원을 벌어 들였다. 국내 매출도 1조2144억원으로, 전년(1조1821억원) 대비 2.7% 소폭 오르는 등 내수 불황을 비껴갔다. 그러나 미국에서는 현지 사업장 통폐합, 구조조정 여파로 매출이 두 자릿수 떨어졌다.
LG생활건강이 중국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낸 것은 럭셔리 뷰티 ‘더후’의 리브랜딩 성과로 해석된다. LG생활건강은 엔데믹 이후 지난해 4분기까지 중국 내수 침체로 긴 침체기를 겪어왔다. 또한, 중국 면세점 수요도 줄어들면서 판매망 재편에 나서야 했다. 이에 LG생활건강은 티몰, 도우인 등과 같은 중국 온라인 채널로 선회했다. 실제로 이들 채널에서 매출 신장률은 세 자릿수가 넘는다. 이처럼 LG생활건강은 온라인 채널 중심으로의 마케팅을 강화하고 있다 최근에는 중국의 유명 인플루언서를 국내로 초청해 화장품 생산공장을 직접 둘러볼 수 있도록 했다. 중국 뿐만 아니라 싱가포르, 베트남, 말레이시아 등 K뷰티에 관심이 높은 현지 인플루언서도 함께 초대했다. 이들은 ‘더후’ 생산공장, 연구소 등을 둘러보면서 라이브 방송을 했다. 자연스럽게 현지 바이럴 마케팅으로 이어진 것이다.

이정애닫기

이 사장은 “‘더후’ 브랜드의 리브랜딩을 지속하고 차별화된 효능가치, 감성가치, 경험가치를 확대해 럭셔리 브랜드로서 지위를 더 강화하겠다”라며 “가치 있고 풍성한 콘텐츠로 브랜드 이미지를 업그레이드해 미국 시장도 진출하겠다”라고 했다.
손원태 한국금융신문 기자 tellme@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