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 금융지주의 지난해 연간 당기순이익 컨센서스(증권사 전망치 평균)는 16조551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한 지난 2022년(15조7312억원)보다 3.6% 늘어난 규모다. 올해 연간 순이익 컨센서스도 17조2316억원으로 전년 대비 4.1% 늘어날 것으로 추정된다.
4분기 각종 비용을 반영해도 연간 기준 역대급 실적이 예상되면서 시장에서는 금융지주들이 배당성향 상향 등을 통해 배당금을 유지 또는 증가시킬 것이라고 봤다. 하지만 금융당국이 부실 PF 사업장에 대한 정리 속도를 높이겠다며 조건부 배당 자제령을 내리면서 배당에 대한 고민이 커진 상황이다.
이복현닫기이복현기사 모아보기 금융감독원장은 지난 23일 임원회의에서 ”단기 성과에 치중해 부동산 PF 손실 인식을 회피하면서 남는 재원을 배당·성과급으로 사용하는 금융회사에 대해서는 엄중한 책임을 묻겠다”고 경고했다. 부동산 PF 손실 관련 충담금을 최대한 적립하라는 주문 속에 배당 내용이 담기면서 역대급 실적을 바탕으로 주주환원을 마냥 확대할 수는 없는 상황이 됐다.
신한투자증권은 ▲KB금융 35% ▲하나금융 32% ▲우리금융 30% 수준의 총주주환원율을 예상했다. SK증권은 ▲KB금융 35.3% ▲신한금융 36.6% ▲하나금융 32.2% ▲우리금융 30.1%로 전망했다.
정준섭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4분기 실적의 컨센서스 하회에도 각 사들은 주주환원율 상향을 통해 주주환원 컨센서스는 유지한다는 방침”이라며 “배당 외 주주환원 여력이 있는 KB·신한·하나금융지주는 2월쯤 자사주 매입·소각 공시를 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하나금융은 CET1비율을 13~13.5% 수준에서 관리하고 13.5%를 초과하는 자본에 대해서는 주주에게 환원하겠다는 계획이다. 중장기 주주환원율 목표치는 50%로 설정했다. 우리금융은 CET1비율을 빠른 시일 내에 12%로 개선하고, 자사주 매입·소각을 포함해 총주주환원율 30% 수준을 매년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업계 관계자는 “은행주가 저평가 상태를 이어가는 가운데 주주환원 정책을 시장 기대에서 벗어나게 운영할 수는 없는 상황”이라며 “다만 금융당국의 손실흡수능력 강화 주문도 의식할 수밖에 없어 적절한 균형을 맞추는 게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진 시점”이라고 말했다.
한아란 한국금융신문 기자 aran@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