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한국투자증권은 업계 최초로 STO 발행·청산 등 모든 과정에 필요한 인프라 구축을 마무리 했다. 지난 3월 카카오뱅크(대표 윤호영닫기


앞서 금융위는 지난 2월 토큰증권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이어 윤창현닫기

하지만, 수개월이 지났어도 해당 법안은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하고 계류 중이다. 이후 지지부진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최근 들어 STO에 대한 세미나 등이 활발히 개최되고 있다. 금융당국도 관련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혀 다시금 기대를 모으고 있다.
특히, 한국투자증권은 그동안 정일문 대표가 ‘디지털 전환·고도화’를 강조한 만큼 토큰증권 사업 준비에 만전을 기했다. 정 대표는 올해 초 신년사를 통해 “디지털 전환은 한국투자증권의 생존과도 직결된 문제다” 며 “미래를 위한 디지털 기반을 반드시 마련해야 한다”고 새로운 기술력을 접목한 금융서비스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한국투자증권은 금융위의 가이드라인이 발표된 이후 지난 3월 공동 협의체 ‘한국투자 ST 프렌즈’를 결성했다.
현재 펀더풀, 밸류맵, 바이셀스탠다드 등 조각투자 전문 기업이 참여하고 있다. 오픈에셋, 서울거래와도 업무협약(MOU)를 맺으면서 시장 선점을 위한 발 빠른 움직임에 나서고 있다.
안혁 한국투자증권 플랫폼본부 수석팀장은 지난달 25일 ‘토큰증권 생태계의 건전한 발전을 위한 방안’ 세미나에 참석해 “과거, 금융업계의 기본적 인프라 구축 시스템은 주로 ‘워터폴’ 방식이었지만, 분산원장 기술은 투자업계에 처음 도입되는 만큼 신속한 의사결정과 효율적 협업을 위해 ‘애자일’ 방식을 채택해 인프라를 구축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토큰증권에 담겨 있는 철학은 레거시와 신기술의 적절한 하이브리드 조합이라고 생각한다. 기존 증권사의 레거시 시스템과 신기술인 분산원장 기술을 잘 엮는 것이 기술적으로 중요한 것 같다”고 덧붙였다.
안 팀장은 “금융 인프라는 약간 비효율적이어도 시장의 신뢰를 주는 게 가장 중요한 요소다”며 “가이드라인과 개정안에 명시된 투자자 보호 역할도 수행하면서 초창기에 시장을 형성할 수 있는 적격 투자자 형태를 고민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전한신 기자 pocha@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