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신문 전한신 기자] 올해 3분기 국내 펀드시장은 고금리 기조의 장기화가 전망됨에 따라 채권·단기자금 상장지수펀드(ETF)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자금이 유입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금융투자협회(회장
서유석닫기
서유석기사 모아보기)가 16일 발표한 ‘2023년 3분기 펀드시장 동향’에 따르면 올해 3분기 말 기준 전체 펀드 순자산은 942조2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분기 대비 18조1000억원(+2%), 전년 말 대비 89조9000억원(10.5%) 증가한 수치다.
금투협은 채권형·파생형 펀드 중심으로 자금이 유입되며 전체 펀드시장에서는 21조5000억원의 자금 순유입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공모펀드는 3분기 동안 ETF에서 10조5000억원의 자금이 순유입됐고 일반펀드에서 8000억원이 순유출돼 9조7000억원의 자금 순유입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사모펀드는 11조7000억원의 자금 순유입을 나타냈다.
특히 채권형 펀드는 분기 동안 7조원의 자금이 순유입되며 운용자산(AUM)은 전분기보다 7조7000억원 증가(+6.2%)한 132조원을 기록했다. 금투협은 “국내 채권형에서 분기 동안 6조8000억원의 자금이 순유입됐으며 순자산은 전분기 대비 7조6000억원(+6.4%) 증가한 126조4000억원을 기록하며 채권형 펀드의 성장을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파생형 펀드의 경우 분기 동안 5조2000억원의 자금이 순유입돼 AUM은 전 분기 대비 3조7000억원 증가(+6.8%)한 58조5000억원을 기록했다. 단기금리와 연동된 ETF 위주로 수요가 증가한 영향이다.
또한 머니마켓펀드(MMF)와 같은 단기금융 펀드의 순자산액은 직전분기 대비 2000억원(+0.1%)이 증가한 184조9000억원을 기록했다. 부동산·특별자산에는 각각 3조4000억원, 1조5000억원의 자금이 순유입되며 AUM은 전 분기보다 각각 3조원, 1조9000억원 증가한 168조4000억원, 145조6000억원으로 나타났다.
반면 주식형 펀드는 분기 동안 1조5000억원의 자금이 순유입됐지만, AUM은 전분기보다 1조9000억원 감소(-1.8%)한 103조8000억원을 기록했다.
금투협 관계자는 “고금리 국면에 들어서면서 국내외 증시는 부진한 반면 채권 투자에 관심이 쏠렸다”면서 “또 고금리 기조가 한동안 유지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양도성예금증서(CD)금리 등을 추종하는 합성 ETF의 수요가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전한신 기자 pocha@fntimes.com
뉴스레터 구독을 위한 이메일 수집 및 수신에 동의하시겠습니까?
뉴스레터 수신 동의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