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동락 대신증권 연구원은 25일 리포트에서 "2년이란 만기 구조로 통화정책에 매우 민감한 금리라는 별칭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괴리를 보였던 금리가 한층 더 기준금리에 근접한 것"이라고 제시했다.
미국 연준은 20일(현지시각) 이틀 간 FOMC 정례회의 뒤 성명에서 기준금리인 연방기금금리(FFR)를 5.25~5.50%로 동결한다고 발표했다. FOMC 위원들의 금리 전망을 나타내는 점도표(dot plot)에 따르면, 2023년 연말 금리 전망치는 중간값 기준 5.6%로 유지됐다. 내년(2024년) 말 금리 전망치는 중간값 기준 5.1%(6월 전망치, 4.6%)로 상향됐다.
공 연구원은 "9월 FOMC는 두말할 여지 없이 매파적인 통화정책 이벤트였다"며 "일부 논란이 있기는 하지만 올해 추가로 기준금리 인상이 더 이뤄질 여지는 크지 않아 보임에도 불구하고 2024년 점도표 상향을 통해 시장에 상당한 혼선을 줬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공 연구원은 "그 결과 통화정책에 민감한 TB 2년 금리는 5.1%대 레벨까지 상승했고 얼마 전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은 값을 경신한 TB 10년 등 장기금리에 이어 역시 수 년래 최고치를 기록했다"며 "상당한 괴리를 보였던 2년 금리가 한층 더 기준금리에 근접한 것"이라고 제시했다.
공 연구원은 "TB 2년 금리가 이번 회의를 통해 기준금리에 접했다는 사실에 대해 연준의 행보에 대한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라며 "기준금리 변경은 시장금리 변화를 동반하며 정책 영향력을 강화하고, 특히나 장기금리가 통화정책뿐만 아니라 경기, 물가 등 거시 여건이 다양하게 함축되는 것에 비해 단기는 통화정책 영향이 절대적"이라고 짚었다.
그는 "따라서 지난해 인상 사이클 개시 이후 큰 괴리를 보였던 TB 2년 금리가 최근 기준금리가 괴리를 크게 좁히고 있다는 것은 현재 연준의 정책 기조인 ‘더 오랫동안, 더 높게(higher for longer)’를 보다 적절하게 반영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봤다.
공 연구원은 "이번 기준금리 인상 사이클에서 최종금리가 5.50%로 확인되는 과정이 이뤄진다면 최근의 가파른 금리 상승세는 진정될 수 있다는 견해(2023년 연말 미국 기준금리 5.50%(상한 기준) 예상)"라고 제시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
지금 본 기사에서
어려운 금융·경제 용어가 있었나요?
자세한 설명이나 쉬운 우리말로 개선이 필요한 어려운 용어를 보내주세요. 지면을 통해 쉬운 우리말과 사례로 자세히 설명해드립니다.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