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원장 이복현닫기이복현기사 모아보기)에 따르면 메리츠증권은 지난달 말 ‘자발적 탄소배출권 자기매매·장외거래’를 부수업무를 신청했다. 메리츠증권은 자발적 탄소 감축 프로젝트 인증으로 발생하는 탄소 크레딧(자발적 탄소배출권)을 해당 크레딧 공급자, 수요자 또는 중개인이 참여하는 장외시장을 통해 자기매매와 중개 업무를 영위할 예정이다.
이에 감축 대상에 속하지 않은 기업, 비영리조직(NGO) 등도 정부의 규제 없이 자율적으로 탄소배출권을 사고팔 수 있는 자발적 탄소 시장(VCM)이 탄생했다.
증권업계에서 자발적 탄소배출권 사업은 토큰증권발행(STO) 사업과 함께 새로운 수익원과 시장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수단으로 떠오르고 있다.
앞서 메리츠증권은 지난해 유럽 탄소배출권 선물을 추종하는 ‘메리츠 S&P 유럽탄소배출권 선물 상장지수증권(ETN)(H)’과 ‘메리츠 S&P 유럽탄소배출권 선물 ETN’을 출시해 운용하는 등 탄소배출권 시장에 주목하고 있었다.
또한 풍력·태양광 등 친환경 관련 프로젝트 대한 투자, ESG 펀드 공급·판매, 종이·용수 사용량 절감 등의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 2007년 창설된 ‘참사랑봉사단’은 올해 3월까지 누적 6억8850만원을 기부하고 총 220여 차례의 봉사활동을 실천해 금융감독원장상, 노인의 날 표창장 등을 수상한 바 있다.
다만 기후 관련 규제 강화와 활발한 거래로 배출권 가격이 우상향을 그린 미국과 유럽 등과는 달리 국내 배출권 가격은 수년간 하락세를 벗어나지 못해 수익성에 대한 의문이 남아있다. 한국거래소(이사장 손병두닫기손병두기사 모아보기) 배출권 시장 정보 플랫폼에 따르면 지난달을 마지막으로 거래가 중단된 2022년 탄소배출권(KAU22)은 지난 1일 톤(t)당 775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전년 같은 기간(2만7600원)의 28% 수준이다.
반면 시장조사 업체 QY리서치는 글로벌 자발적 탄소배출권 거래 시장 규모가 지난해 14억 4400만달러(한화 약 1조9263억원)에서 2029년 53억5800만달러(약 7조1476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기간 연평균 성장률은 20.9%다.
업계 관계자는 “자발적 탄소배출권 시장의 현재 수익성은 미미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봤을 때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된다”고 설명했다.
전한신 기자 pocha@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