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일 보험업계에 다르면 삼성생명은 내·외부 데이터 결합을 통한 자문 서비스‧데이터 솔루션 판매를 부수업무로 등록했다. 보유한 데이터와 외부 제휴사 보유 데이터를 결합해 솔루션을 공동 개발한 후 제휴사를 통해 판매‧유통하기 위해서다.
특히 전 대표는 지난해 신년사에서 “기존의 보장자산을 넘어 노후 금융자산과 일상적인 건강관리까지 아우르는 건강자산 보장 프로젝트를 새롭게 추진하겠다”며 “이를 통해 고객의 삶 전반에 걸쳐 최고의 상품과 솔루션을 제공하는 진정한 인생 금융파트너로 거듭나는 전기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삼성생명은 건강보장, 은퇴소득, 변액상품 등 고객의 다양한 니즈에 대응할 수 있는 다각화된 상품구성과 함께 광범위한 데이터(보험계약정보, 지급정보)의 축적 및 분석을 통해 적절하고 경쟁력 있는 상품을 개발하는 능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해 왔다.
삼성생명은 지난해 SK플래닛과 마이데이터 기반 고객 최적화 금융 서비스 제공을 약속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등 외부 데이터 확보에 주력했다. 당시 삼성생명은 SK플래닛이 분석한 마이데이터 보험계약정보, 비실명기반 DMP(Data Management Platform)를 판매 채널에 접목해 최적화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또 고객의 소비 데이터를 기반으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SK플래닛 모바일 마케팅 플랫폼 ‘시럽(Syrup)’에서 삼성생명 다이렉트 채널 상품 정보, 보험 가입내역 조회, 보험금 청구 등 고객 편의를 위한 서비스도 제공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김형일 기자 ktripod4@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