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B 금쪽같은 펫보험 가입연령을 분석한 결과 0세부터 2세까지의 어린 강아지가 전체 강아지 중 절반(49.6%)에 달했다. 고양이의 경우도 0세부터 2세까지의 어린 고양이가 42.3%로 나타났다. 이는 마치 부모가 자녀를 위해 보험을 가입해주는 자녀보험처럼 어린 반려동물의 위험을 보장하는 보험가입 비중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강아지의 경우 가장 많이 가입한 반려견의 품종 Top3는 국내에서 많이 양육하고 있는 포메라니안(15%), 말티즈(13%), 토이푸들(12%)이며, 3개 품종이 전체 가입 반려동물의 약 40%를 차지했다.
KB 금쪽같은 펫보험의 보장기간을 분석한 결과, 5년 갱신형 상품 가입 비중이 3년 갱신형 보다 높았다. 강아지의 경우 83.8%, 고양이의 경우 89.7%가 5년 갱신형 상품을 선택했다. 이는 사람보다 노화가 빠른 반려동물을 고려해 연령 증가에 따른 보험료 인상을 최소화 하고자 하는 반려인의 마음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펫보험 가입자들은 반려동물이 가입할 수 있는 대부분의 보장을 챙겨 가입했다. 강아지의 경우 ‘반려동물 치료비’(100%)와 ‘반려동물배상책임’(88.8%)외에도 사망할 경우 보험금을 지급하는 ‘무지개다리위로금’(86.8%)순으로 높은 가입률을 보였고 고양이도 ‘반려동물치료비’(100%), ‘무지개다리위로금’(79.8%)의 가입비율이 높았다.
주목할 점은 평균 6만원 내외의 보험료를 지출하는 부담이 있더라도 탄탄한 보장을 원한다는 것이다. 치료비 보장비율이 90%로 가장 높은 프리미엄 보장을 가입하면서 자기부담금이 없는 플랜의 가입 니즈가 높았다. 구체적으로 강아지의 53.0%, 고양이의 70.5%가 90% 치료비 보장을 선택했고 강아지의 58.9%, 고양이의 66.6%가 자기부담금이 없는 플랜을 선택했다.
KB손보 관계자는 “계약 분석을 지속적으로 실시해 반려인이 가입하고 싶은 펫보험으로 자리매김하겠다”며 “앞으로도 건강한 반려생활 및 반려동물 문화형성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특히 보험료에 부담을 느끼는 반려인은 자기부담금을 5만원 또는 10만원으로 가입하는 경우 주요 견종인 포메라니안, 말티즈, 토이푸들에서 2~3만 원대 보험료로 보험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됐다.
KB 금쪽같은 펫보험은 동물등록증 제출 시 보장보험료의 2%를 할인 받을 수 있고 2마리 이상 가입했을 때 5% 추가 할인이 가능하다. KB 금쪽같은 펫보험 분석 결과 보험료 할인혜택을 받은 비중이 69.2%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나 대다수 가입자가 보험료 할인제도를 유용하게 활용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KB 금쪽같은 펫보험은 합리적인 가격, 탄탄한 보장과 함께 반려동물 사진을 보험증권에 인쇄하는 서비스 등 반려인의 공감을 이끄는 세심함으로 판매 첫 달 1억원이 넘는 매출을 달성할 정도로 호응이 높았다.
김형일 기자 ktripod4@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