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유신 서강대기술경영대학원장 겸 디지털경제금융연구원장은 지난 23일 오후 2시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2023 한국금융미래포럼 : 금융대전환, 새도약 길을 찾다’에서 정유신 서강대 기술경영대학원장 겸 디지털경제금융연구원장은 패널토론에서 우리나라가 디지털 금융허브 추진 시 벤치마킹할 수 있는 국가를 묻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정유신 서강대기술경영대학원장 겸 디지털경제금융연구원장은 한국만의 차별성인 ‘디지털’을 살려 ‘디지털 금융 허브’를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유신 원장은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우리나라 IT 디지털경쟁력, 금융과 융합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 산업을 한국만의 차별성으로 꼽았다.
정 원장은 “우리나라는 디지털 금융이 융합할 수 있는 서비스 산업이 다양하다. 싱가포르, 홍콩과는 확실히 차별화되는 포인트”라며 “디지털 금융허브는 우리나라도 이제 충분히 (다른 글로벌 금융허브 처럼)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정유신 원장은 “디지털 금융 허브가 되면 해외 인력 유입이 용이해지면서 유입된 해외 인력이 해외 데이터를 적극 활용하게 된다”라며 “우리나라 기술과 해외 데이터가 만나 신융합산업이 발생하고 고용창출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 원장은 디지털 금융허브가 테스트베드 역할을 하게 되면 우리나라 해외 진출도 용이해진다고 전망했다.
정 원장은 디지털 금융 허브가 블록체인과 연계한 디지털자산 허브로 확대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정유신 원장은 “최근 금융당국이 토큰 증권 제도를 마련한 만큼, 디지털 금융허브와의 시너지 창출이 가능하다”라며 “디지털 금융허브 구축이 본격화하면 핀테크업체의 글로벌진출이 활발해져서 유니콘으로의 성장기회가 늘어나고 디지털 자산업체의 사이버 영토(Cyber-territory)가 무한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도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그는 디지털 자산 시장은 탄소 배출 ESG와 맞물려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 시기에 디지털 자산으 선점할 수 있는 입법정책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정유신 원장은 “최근 ESG경영과 함께 탄소 배출이 화두로 되고 있다. 탄소 배출 관련해서는 블록체인이 주요 역할을 한다”라며 탄소배출권시장의 시너지 창출에도 상당한 역할이 기대되므로 디지털자산기본법의 구체화를 서두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나라가 디지털 금융 허브가 되기 위해서는 ‘칸막이 행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유신 원장은 “핀테크와 여타 서비스와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선 핀테크산업 내부 혁신뿐만 아니라 핀테크와 여타 산업간 융합의 혁신이 필수”라며 “정책 결정권자인 정부 각 부처가 칸막이를 깨고 나와 다른 부처와 해결책을 찾는 상생과 융합 행정이 긴요하다”고 말했다.
전하경 기자 ceciplus7@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