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회사의 부수업무 및 자회사 출자 범위와 업무위탁 범위를 확대해 금융-비금융간 융합·협력을 강화해 나가겠습니다.”(김주현닫기

“슈퍼 앱은 개별 앱을 이용할 때 보다 편의성과 혜택 면에서 더 큰 가치를 제공하는 등 기존에 없던 고객 경험을 통해 더 많은 상품과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유도하고, 다른 앱에서의 서비스 이용 니즈를 종식시킬 수 있어야 합니다.”(조영서 KB금융그룹 CDPO)
지난 23일 오후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2023 한국금융미래포럼 : 금융대전환, 새도약 길을 찾다’에서는 금융권의 필수 과제가 된 미래 혁신과 디지털 플랫폼 전략이 논의됐다.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은 축사를 통해 현시점이 디지털 대전환 시대를 K-금융의 시간을 만들어야 할 절호의 기회라고 진단했다. 그는 “지난 1월에는 금융위가 대통령 업무보고를 통해 금산분리를 올해 주요 추진업무로 꼽으면서 디지털 금융허브의 꿈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는데, 이런 흐름들을 잘 보면서 시대에 맞는 법안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며 “스마트 플랫폼 기반 혁신금융으로의 도약을 위해 국회는 정확한 플랫폼 비전과 웹3.0 전략을 담은 금융혁신법안들로 힘을 합치겠다”고 밝혔다.
기조연설을 맡은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디지털 전환 시대에 금융당국은 혁신적인 금융서비스를 활용한 편익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디지털 금융이 제기하는 새로운 위험에 대비해야 하는 어려운 도전에 직면해있다”며 “금융권이 디지털 전환을 통해 혁신과 경쟁을 강화하고 다양하고 새로운 산업이 육성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첫 번째 세션에선 국내 대표 금융지주들이 각사의 디지털 플랫폼 전략 사례를 소개했다.
황보현우 하나금융지주 데이터본부장(상무)은 고객, 금융 환경, 정부 정책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그룹 차원 데이터 활용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그는 “그룹 내 마이데이터 사업자의 정보를 포함해 전 관계자의 데이터를 하나로 모아 그룹 차원의 데이터 활용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며 “데이터 허브의 본질은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과 고객 이해를 통한 최적화된 고객관리에 있다”고 강조했다.
두 번째 세션에선 류지해 미래에셋증권 디지털자산TF 이사가 ‘토큰증권(STO) 비즈니스 전략’을, 박수용 웹3.0포럼 운영위원장은 ‘웹3.0 시대의 금융전략’을, 정유신 서강대 기술경영전문대학원장은 ‘디지털 금융허브 추진 방안’을 각각 발표했다.
이어진 패널토론에선 고승범닫기

한국금융신문 유튜브 채널에서 다시 보기를 통해 알찬 포럼 내용을 시청할 수 있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
지금 본 기사에서
어려운 금융·경제 용어가 있었나요?
자세한 설명이나 쉬운 우리말로 개선이 필요한 어려운 용어를 보내주세요. 지면을 통해 쉬운 우리말과 사례로 자세히 설명해드립니다.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