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연금개혁 핵심인 소득대체율을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하면서 구체적인 수치가 빠진 채 초안 마련에 이르지 못하고 경과 보고를 했다.
4개 분야 16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민간자문위는 국회 차원의 연금개혁 초안을 마련하기 위해 2022년 11월 연금특위 산하 기구로 출범했다.
보고서는 관심을 모았던 현행 9%인 보험료율 인상 여부에 대해 자문위는 '더 내는' 보험료율 상향 필요성에 공감대를 형성했으나 구체적인 수치를 제시하지는 못 했다.
또 현재 62세인 수급개시 연령의 상향에 대해서도 "고령화 진전에 따른 연금재정 부담의 완화 차원에서 장기적인 필요성은 인정된다"고 밝혔다.
소득대체율에 대해서는 재정 안정성을 위해 예정대로 2028년까지 40%까지 낮춰야 한다는 '지속가능성 강조' 입장, 국민의 적정한 노후생활을 위해서 이보다 많이 올려야 한다는 '소득보장성 강조' 입장이 병기됐다.
정부는 공을 넘겨 받는 모양새가 됐다. 윤석열닫기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