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감원은 21일 '2023년도 디지털부문 금융감독 업무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날 설명회에는 금융사와 전자금융업자, 협회 및 유관기관 관계자 약 370명이 참석했다.
김병칠닫기

김병칠 부원장보는 금융의 디지털화에 따른 위험요인을 면밀하게 모니터링하고 IT 리스크 및 소비자보호 위험요인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고 언급했다.
이를 위해 데이터 전문기관을 추가로 지정해 금융·비금융 간 데이터 결합·활용을 촉진하고 마이데이터 사업자의 업무범위 확대 방안도 검토한다.
금융분야 인공지능(AI) 안내서 활용실태와 AI 리스크 관련 내부통제 현황 등을 점검하고 AI 활용을 확대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한다.
김 부원장보는 "IT 리스크에 대한 사전 예방적 검사·점검을 강화하고 전자금융의 안전성 제고를 위한 규제와 시스템 정비할 것"이라며 "특히 반복적 IT 사고의 원인별로 금융회사가 갖춰야 할 최소 요구사항을 업권과 함께 만들고 자체 점검을 위한 체크리스트도 고도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디지털자산 리스크 협의회'에서 리스크를 사전에 진단하고, 디지털자산시장과 전통적 금융시장 간 연계성 확대에 따른 잠재리스크 관리방안도 검토한다.
한편 이날 외부전문가로 초청된 오순영 KB국민은행 금융AI센터장은 'AI의 발전이 금융산업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했다.
오순영 센터장은 "AI 기술은 일상에 혁명을 가져다 줄 것이며 인공지능의 금융산업 내 영향력도 지속적으로 증가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오 센터장은 "국내 금융회사들이 국제적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금융데이터를 비롯한 금융분야에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감독당국의 적극적인 지원과 규제혁신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신혜주 기자 hjs0509@fntimes.com
지금 본 기사에서
어려운 금융·경제 용어가 있었나요?
자세한 설명이나 쉬운 우리말로 개선이 필요한 어려운 용어를 보내주세요. 지면을 통해 쉬운 우리말과 사례로 자세히 설명해드립니다.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