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3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말 기준 가상이동통신망사업자(MVNO) 가입 고객은 1283만 회선으로 전년말 대비 247만 회선이 증가했다. 알뜰폰 가입자 비중도 전체 회선의 16.7%로 2.5%p 확대됐다. 알뜰폰 등장 이후 기존 SKT·KT·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 간 선호도 간극도 좁아지고 있으며 토스의 합류로 기존 사업자를 포함한 이동통신 시장 내 치열한 고객 유치 경쟁이 예상된다.
삼성카드의 ‘삼성 iD ON 카드’는 알뜰폰 요금과 함께 SKT·KT·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요금의 10% 할인을 제공한다. 알뜰폰 요금 할인 대상은 SK텔링크, KT스카이라이프, KT M모바일, 헬로모바일, 미디어로그 등이다. 이동통신요금 할인은 대중교통·택시, 스트리밍 할인과 함께 통합 할인한도가 적용되며 전월 실적에 따라 최대 2만원까지 할인을 받을 수 있다.
우리카드의 ‘카드의정석 WOWRI’의 경우 이동통신요금 결제시 5% 적립되며 알뜰폰 요금도 적립 대상에 포함된다. 알뜰폰 요금 할인 대상은 CJ헬로모바일, KTM모바일, U+알뜰모바일 등으로 알뜰폰 요금을 간편결제로 결제하면 3% 추가로 적립돼 총 8%가 적립된다. 이동통신요금 적립과 간편결제 추가적립은 실적에 따라 적립 한도가 최대 5만점이며 기본 적립은 제한 없다.
신한카드의 ‘신한카드 알뜰More’는 알뜰폰 통신요금을 최대 1만5000원까지 할인되는 카드로 알뜰폰 통신할인은 월 1회 제공된다. 매월 첫번째로 결제되는 건에만 할인이 적용돼 여러 통신요금을 자동이체 하고 있어도 첫번째로 결제되는 자동이체 건에만 할인이 적용된다. 또한 통신할인을 받은 건을 포함해 국세나 지방세, 아파트관리비, 국민연금 등도 실적으로 인정돼 실적을 채워야 하는 부담도 덜하다.
KB국민카드는 제휴처별 알뜰폰 할인카드를 구성했다. ‘알뜰폰 Hub Ⅱ 카드’는 알뜰폰 허브 제휴카드며 ‘KMVNO 알뜰폰 카드’는 KMVNO(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 제휴카드다. 각 카드는 알뜰폰 허브와 KMVNO에 소속된 알뜰폰 업체의 통신요금에 대해서 할인 혜택을 제공해 알뜰폰 업체가 소속된 곳을 미리 확인할 필요가 있다. 또한 ‘알뜰폰 Hub Ⅱ 카드’와 ‘KMVNO 알뜰폰 카드’ 모두 알뜰폰 요금 할인 대상이 CJ헬로모바일, KTM모바일, U+모바일이며 최대 1만7000원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알뜰폰 요금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체크카드도 있다. 우리카드의 ‘NU 오하쳌’과 ‘NU Uniq Check’는 CJ헬로모바일, KTM모바일, U+모바일 요금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NU 오하쳌’은 5% 캐시백을 건당 1000원까지 제공하며 ‘NU Uniq Check’는 통신요금 1% 적립 혜택을 제공한다. ‘NU Uniq Check’의 경우 쇼핑·교통·정기결제 중 통신요금이 포함된 정기결제를 가장 많이 사용했다면 이용금액의 0.5%를 추가로 적립할 수 있다.
아울러 토스는 지난해 10월 ‘토스모바일’을 인수했으며 지난달 30일 사전신청자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오픈한 데 이어 지난 22일 전국 단위로 전면 오픈했다. 토스모바일은 4가지 요금제를 우선 선보였으며 ▲데이터 7GB 기본, 데이터/통화/문자 무제한(월 1만4800원/정가 2만4800원) ▲데이터 15GB 기본, 통화 100분/문자 100건(프로모션가 2만5800원/정가 3만5800원) ▲데이터 71GB 기본, 데이터/통화/문자 무제한(프로모션가 3만4800원/정가 5만4800원) ▲100GB 데이터 기본, 데이터/통화/문자 무제한(프로모션 가격 월 3만9800원)을 제공하고 있다.
김경찬 기자 kkch@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