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오는 4월부터 맥주에 붙는 세금이 지난해보다 ℓ당 30.5원 오른 885.7원이 된다. 지난해 ℓ당 20.8원 오른 데 이어 올해는 인상폭을 키웠다.
소주 가격도 오를 것으로 보인다. 소주는 올해 주세 변동은 없지만 생산 비용이 큰 폭으로 오르고 있다. 지난해 2월 소주의 원료가 되는 주정(에탄올) 가격이 7.8% 오른데 이어 올해에는 소주병 공급 가격이 병당 180원에서 220원으로 뛰었다.
주류 업계가 출고가를 인상하면 판매 가격도 오를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소주 출고가가 1병당 85원 인상되자 마트·편의점 가격은 100∼150원 올랐다. 음식점에서 판매하는 소주 가격은 병당 500~1000원 인상했다.
주류업계는 지난해에도 원·부자재값 상승을 이유로 출고가를 인상한 바 있다. 하이트진로는 테라와 하이트 출고가를 7.7%, 오비맥주는 오비·카스·한맥 출고가를 평균 7.7%, 롯데칠성음료는 클라우드 출고가를 8.2% 각각 인상했다.
이에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주류 가격은 전년 대비 5.7% 상승했다.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상승률 11.5%에 이어 2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주류업계 관계자는 “주류는 보통 소매점보다 식당이나 주점 등에서 많이 소비된다”며 “주류업체에서 출고가를 50원, 100원 인상하면 식당에선 500원, 1000원 단위로 인상하니 소비자 체감 인상폭이 커져 출고가 인상이 쉽지 않다”고 말했다.
홍지인 기자 helena@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