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는 기존 기준금리(3.25%)보다 25bp(1bp=0.01%p), 즉 0.25%p 높인 것이다.
금통위는 2022년 10월 빅스텝(0.5%p 금리인상)을 단행하며 기준금리 3% 시대로 진입하고 작년 마지막 11월 금통위에서 보폭을 좁힌 금리인상에 이어, 새해 2023년 첫 금통위에서 '베이비스텝(0.25%p 금리인상)'으로 통화긴축을 지속했다.
이번 금리인상은 한은 금통위의 사상 첫 일곱 차례 연속 금리인상 기록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2년 12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09.28(2020=100)로 전년 동월 대비 5.0% 상승했다. 8개월째 5%대 고물가가 지속되고 있다.
한-미(韓·美) 금리 격차도 고려요소로 풀이된다.
앞서 미국 연준(Fed)은 4회 연속 '자이언트스텝(0.75%p 금리인상)'에 이어 지난 2022년 12월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빅스텝(0.5%p 금리인상)'을 단행했다. 연방기금금리(FFR) 밴드는 4.25~4.50%로 높아졌다. 일부 속도도절이 있었으나 한국 기준금리 격차가 상단 기준 1.25%p나 높았기 때문이다.
다만 이번 금통위 결정은 경기둔화가 우려 요소이기는 하지만 아직 물가가 중요하다는 신호로도 풀이할 수 있다.
또 고공행진 하던 원/달러 환율이 1240원대까지 떨어진 점은 금리인상 속도 부담을 낮추게 하는 요소가 된 것으로 풀이된다.
'베이비스텝'은 대다수 채권전문가 예상에도 부합했다. 금융투자협회의 2023년 1월 2~5일 기준 채권 보유·운용 관련 종사자 대상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100명 중 67%는 1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0.25%p 인상을 전망했다.

이창용닫기

금통위 회의 직후 이창용 총재 기자간담회가 예정돼 있는데 최종금리 수준 등과 관련 포워드가이던스(사전예고 지침)를 제시할 지 주목된다. 동결 소수의견 여부 등도 확인이 필요하다.
다만 급격한 '작별 인사'보다 여지를 열어두는 스탠스를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 편이다.
1월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0.25%p 올리면서 한국(3.5%)과 미국(4.25~4.50%)의 기준금리 격차는 일단 상단 기준 1%p로 좁혀졌다.
다만 가깝게 현지시각 오는 1월 31일~2월 1일 미국 연준(Fed)의 FOMC가 예정돼 있고,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는 점은 고려 요소다. 미국 기준금리가 우리 기준금리보다 큰 폭 웃도는 상태를 오래둘 경우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 우려를 높여 원화가치 하방 압력이 될 수 있고, 특히 원화 약세는 수입물가를 끌어올려 인플레이션 국면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딜레마가 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
지금 본 기사에서
어려운 금융·경제 용어가 있었나요?
자세한 설명이나 쉬운 우리말로 개선이 필요한 어려운 용어를 보내주세요. 지면을 통해 쉬운 우리말과 사례로 자세히 설명해드립니다.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