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는 기존 기준금리(3.0%)보다 25bp(1bp=0.01%p), 즉 0.25%p 높인 '베이비스텝'이다.
이번 금리인상은 한은 금통위의 사상 첫 여섯 차례 연속 금리인상 기록이다.
이번 기준금리 인상 결정은 시장 예상에 부합하는 것으로, 인플레이션 대응 차원에서 한은의 책무인 물가 안정을 고려한 기준금리 인상 기조를 이어간 것으로 풀이된다.
한미 금리 격차도 고려요소가 된 것으로 보인다. 앞서 미국 연준(Fed)의 4회 연속 자이언트 스텝(0.75%p 금리인상)으로 연방기금금리(FFR) 밴드가 3.75~4.00%까지 높아져 한은과 금리격차가 상단 기준 1%p나 높았기 때문이다.
이번 금통위 관심은 인상폭이었는데, 글로벌 강(强)달러로 치솟던 원/달러 환율이 1300원대로 떨어지면서 긴축 보폭을 좁힐 수 있다는 전망에 부합했다.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이 단행되면 자칫 경기둔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부담 요소도 고려됐을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10월 한은 금통위 의사록에서도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확산과 환율경로를 통한 물가상승 압력을 줄이는 게 거시경제의 우선적 과제라고 판단한 금통위원 의견이 높았지만, 외환시장 안정을 위한 기준금리 인상이 국내 경기 하강을 가속화하고 금융불안정을 야기할 가능성을 제기하는 의견도 나와 의견차를 보였기 때문이다.

금융투자협회가 2022년 11월 11일~16일 기준 채권 보유·운용 관련 종사자 100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70%는 0.25%p 인상을 전망한 바 있다.
다만 한은은 올해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금통위가 마무리된 가운데, 오는 12월 미국 FOMC에서 연준이 빅스텝을 밟더라도 추가적으로 한미 금리차가 벌어질 수 있다는 점은 압력 요소다.
특히 11월 FOMC 당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기준금리의 최종 수준은 과거 전망한 것보다 다소 높을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어서 부담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미국 기준금리가 우리 기준금리보다 큰 폭 웃도는 상태를 오래둘 경우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 우려를 높여 원화가치 하방 압력이 될 수 있고, 특히 원화 약세는 수입물가를 끌어올려 인플레이션 국면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딜레마가 있다.
지속적 금리인상으로 기업과 가계 대출 이자 직격탄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금통위 뒤 열리는 이창용닫기

금통위가 11월 기준금리를 0.25%p 올리면서 한국(3.25%)과 미국(3.75~4.0%)의 기준금리 격차는 일단 상단 기준 0.75%p로 좁혀졌다.
다만 다음달 13~14일(현지시간)에 열리는 12월 연준 FOMC에서 금리인상이 예상돼 추가로 격차가 벌어질 수 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