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 부동산업계 등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최근 ‘공인중개사 자격제도 개선을 위한 연구’ 용역을 앞두고 사전규격을 공고했다. 국토부는 공인중개사 과잉 공급으로 서비스 질이 악화하거나 과다경쟁으로 인해 가격 왜곡 등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실제로 국토부 자료 등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공인중개사는 연평균 2만2000명이 배출됐다. 합격자 배출 수는 주택관리사 1610명, 감정평가사 203명 등 국가전문자격에 비교해 많지만, 이에 비해 개업한 중개사 비율은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해 기준 공인중개사 자격보유자 총 49만3503명 가운데 11만9108명이 개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4명 중 3명꼴로 공인중개인 활동을 하지 않았다는 의미다.
최근 공인중개사를 끼지 않는 직거래가 늘어난 데다 부동산 시장 자체가 극심한 거래절벽에 시달리고 있어 다수의 공인중개사가 경영난을 호소하고 있다. 특히 중개건수가 적어지면서 수입이 없는 중개사무소는 문을 닫고 있고, 사무실을 내놓는 중개인도 급증하고 있다.
일각에선 이번 정부의 발표와 함께 시장 환경과 소비자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서라도 전문성을 키워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은평구의 한 공인중개사 대표는 “과도한 자격증 배출과 부동산 사기 등으로 인해 선량한 공인중개사들이 되려 잠재적 사기꾼으로 보는 시선도 있다”며 “이번 정부의 선택으로 공인중개사의 선입견을 깨버리고, 국민의 재산권을 보호해주는 직업이 되길 간절히 바란다”고 말했다.
주현태 기자 gun1313@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