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선영 동국대 교수는 29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2' 중 '디지털 금융 관련 정책방향에 대한 논의' 세미나에서 "디지털 자산 입법 방향은 기술 중립적이고 국제 정합적이며, 적용은 플렉서블(유연성) 해야 하고, 업계 자율 개선 노력은 강구돼야 한다"고 제시했다.
글로벌 디지털 자산시장 중에서도 한국 시장은 중요하게 간주된다고 짚기도 했다. 박 교수는 "한국은 단독 상장 가상자산 비중이 유난히 높은데, 시가총액이 작으면 시장 조작/왜곡(manuipulation) 노출이 쉬울 수 있다"고 지목했다.
특금법과 테라-루나 사태로 말미암아 최근 가상자산 업계 자정 노력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데이터도 많이 개선되고 있다고 했다.
또 이대기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실장)은 이날 세미나에서 '디지털 자산이 금융안정에 미치는 영향' 주제 발표에 나섰다.
실증분석을 통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디지털자산과 주식시장 등 금융시장 동조화로, 수익률, 변동성 파급효과가 커지고 있다는 점을 짚었다.
한국도 앞으로 디지털 자산이 활성화되면 위험이 커지고, 이후 테스트 하면 연결성이 미국처럼 높아질 것으로 보여 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디지털 자산이 금융 시스템 리스크를 안 일으키게 하려면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며 "디지털 자산 정보 비대칭 상황에서 공시 강화, 백서 등 디지털 자산 투자자 위한 보호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인호 고려대 교수는 '디지털 자산 혁명과 생태계 구축 과제' 주제 발표에서 "디지털 자산은 미래 금융산업의 핵심 경쟁력"이라며 "얼마나 빠르게 리더 역할을 하느냐인 속도의 문제"라고 산업 진흥적 측면 중요성을 꼽았다.
림투앙리(Lim Tuang Lee) 싱가포르통화청 국장은 '혁신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디지털 자산 생태계를 발전시키기 위한 과제'를 주제로 발표했다. 림투앙리 국장은 "스테이블 코인에 잠재력이 많다고 생각하는데, 안전한 예비금이 있어야 하고, 상환이 시의적절하게 이뤄져야 한다"고 짚었다.
림투앙리 국장은 "전통적인 자산과 디지털자산과 상호 관계에서 기존 금융자산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주의하고 모니터링 해야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