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부위원장은 15일 금융노조 총파업 대비 금융권 상황 점검 회의를 주재하고 “파업 예정일까지 시간이 남은 만큼 노사 간 대화를 통해 입장 차이가 원만히 조율되기를 기대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김 부위원장을 비롯해 이준수 금융감독원 부원장, 주요 시중은행 부행장, 금융공공기관 부기관장 등이 참석했다.
김 부위원장은 “개별 금융기관 파업 시에도 시스템적 차원에서는 정상적인 영업·운용이 가능하도록 전산 업무를 비롯한 금융기관 업무 연속성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주문했다.
금융당국은 은행별 자체 '비상 행동계획'을 미리 점검하도록 지도하고 파업에 따른 전자금융거래 중단 등 비상사태 발생에 대비한 'IT 업무 연속성 계획'과 '비상시 은행 간 예금 지급시스템' 작동 여부 등에 대한 점검을 마쳤다. 비상시 은행 간 예금 지급시스템은 파업 때 타 은행에서 파업 은행 예금을 대지급할 수 있는 은행 간 예금 대지급 전산시스템을 말한다.
금융당국은 파업 대응 컨트롤타워로 금감원 내 ‘종합상황본부’를 운영하고 있다. 파업 진행 추이에 맞춰 필요한 조치를 취할 계획이다. 파업 당일에는 은행 본점과 전산센터 등에 검사인력을 파견해 전산 가동 여부 등을 지속 점검토록 하는 등 현장 상황에 신속 대응할 예정이다.
현장 인력은 파업 참여 인원과 해당 인원의 근무지 무단 이탈 여부 등 근태관리의 적정성, 금융소비자 불편 사항 등 민원 접수 사례, 대체 인력 투입현황을 비롯한 업무연속성계획(BCP) 가동현황 등을 중점 점검한다. 유관기관과의 비상 연락망도 가동해 필요시 기관 간 신속한 협조를 통해 국민 금융 활동에 불편이 최소화되도록 할 방침이다.
특히 대고객 업무 관련해 파업 시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영업 지원 관련 필수인력을 확보・배치해 영업점 업무 차질을 최소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
지금 본 기사에서
어려운 금융·경제 용어가 있었나요?
자세한 설명이나 쉬운 우리말로 개선이 필요한 어려운 용어를 보내주세요. 지면을 통해 쉬운 우리말과 사례로 자세히 설명해드립니다.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