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1일 리포트에서 "실적에 민감한 여름증시"라며 "한국 증시도 당분간 실적이 모든 것을 결정할 것"이라고 제시했다.
S&P500과 나스닥은 지난 금요일 각각 전일 대비 1.4%, 1.9%씩 올랐다. 물가와 심리 지표는 시장에 불리했다. 연준(Fed)이 주목하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물가는 일전에 발표된 소비자물가(CPI)와 달리 전년 동월 대비 4.8% 상승하며 전월치와 예상치를 모두 상회했다. 미시간대 소비심리지수는 51.5%로 전월 대비 소폭 올랐지만 50년래 최저치를 유지했다.
김 연구원은 "어느 것 하나 주가를 부양하는 데 도움이 되는 지표가 아니었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 시장이 요른 것은 온전히 실적효과에 기인한다"고 판단했다.
특히 아마존, 애플 등 일일 거래량 상위 종목이 큰 역할을 했다고 분석했다.
한국 증시도 2분기 실적 발표를 집중해야 한다고 봤다. 김 연구원은 "7월말 기준 코스피200 기업 중 68개가 실적을 발표했고, 이중 컨센서스를 5% 이상 상회한 비율은 50%"라며 "여기에서 투자 종목을 고를 필요가 있고, 또 이들 중 3분기 이익 전망치가 상향 조정되는 조건을 결합한다면 더 나은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제시했다.
이와 관련 김 연구원은 "이에 부합하는 업종은 현재 운송과 자동차"라며 "다만 운임이 하락하고 코로나19 재확산으로 부담이 늘어산 운송보다, 판가 상승과 믹스 개선이 예상되는 자동차가 단기적으로 더 나은 선택지가 될 것으로 보여, 방어주에 더해 자동차에 대한 비중 확대를 추천한다"고 제시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