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ce 1992

대한민국 최고 금융경제지

닫기
한국금융신문 facebook 한국금융신문 naverblog

2024.11.22(금)

애플 등 빅 테크 호실적에 나스닥 1.9%↑… ‘최고의 한 달’

기사입력 : 2022-07-30 21:45

  • kakao share
  • facebook share
  • telegram share
  • twitter share
  • clipboard copy

S&P 500 1.42%‧다우존스 0.97% 상승 마감

나스닥, 2년 3개월 만에 ‘최대 폭 월간 상승’

S&P 500 기업 72% 2분기 실적 전망치 상회

PCE 가격지수 고공행진 중에도 투자 심리↑

29일 (현지 시각) 뉴욕증권거래소(NYSE·New York Stock Exchange)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NASDAQ·National Association of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을 포함한 3대 지수는 3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탔다./사진=〈한국금융신문〉이미지 확대보기
29일 (현지 시각) 뉴욕증권거래소(NYSE·New York Stock Exchange)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NASDAQ·National Association of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을 포함한 3대 지수는 3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탔다./사진=〈한국금융신문〉
[한국금융신문 임지윤 기자] 미국 뉴욕 증시가 3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탔다. 인플레이션(Inflation‧물가 상승) 지표가 여전히 높은 상황임에도 빅 테크(Big Tech‧대형 정보기술 기업)의 호실적이 증시를 끌어올렸다. 뉴욕 증시의 한 달 상승 폭을 보면 2년 만에 ‘최고의 한 달’이라 평할 수 있다.

29일 (현지 시각) 뉴욕증권거래소(NYSE·New York Stock Exchange)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NASDAQ·National Association of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88%(228.10포인트) 상승한 1만2390.69를 기록했다.

이어서 대형 기업 주식 500개를 포함한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 500 지수(S&P500·Standard & Poor's 500 index)도 1.42%(57.86p) 오른 4130.29를 나타냈으며, 미국 30개 대표 종목 주가를 산술평균한 다우 존스 공업평균 지수(DJIA·Dow Jones Industrial Average) 역시 0.97%(315.50p) 증가한 3만2845.13에 마감했다. 중소형주 위주의 러셀(Russell) 2000 지수도 0.77%(14.34p) 상승한 1887.37로 집계됐다.

이날 증시 상승세는 빅 테크 등 주요 기업들의 호실적 영향이 컸다. 애플(Apple‧대표 팀 쿡)과 아마존(Amazon‧대표 앤드루 제시) 등이 미국 뉴욕 맨해튼 섬 남쪽 끝에 있는 금융 밀집 구역 ‘월가’(Wall Street) 전망치보다 웃도는 실적을 기록하면서 각각 3.3%, 10.4% 급등했다.

또한 미국의 ‘석유 공룡’이라 불리는 엑슨모빌(ExxonMobil‧대표 대런 우즈)과 셰브론(Chevron‧대표 마이클 워스)도 이날 사상 최대 분기 실적 발표와 함께 각각 4.6%, 8.9% 상승 마감했다.

글로벌 금융 정보 제공 업체 ‘팩트셋’(FactSet‧대표 필 스노)에 따르면, 현재까지 절반 이상 S&P 500 기업이 2분기 실적을 발표했는데, 그중 72%가 전망치를 상회했다.

기업들의 2분기 호실적 속 뉴욕 증시는 7월 반전을 연출했다. 52년 만에 최악의 상반기를 보낸 증시가 2020년 이후 2년 만에 ‘월간 최대 상승’을 보인 것이다.

다우 존스 마켓데이터(Marketdata‧시장정보)에 따르면, 7월 한 달간 나스닥 지수는 12.4%, S&P 500 지수는 9.1%, 다우 지수는 6.7%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나스닥 지수는 2020년 4월, 다우 존스와 S&P 500 지수는 2020년 11월 이후 거둔 ‘최대 폭 월간 상승률’이다.

현재 경제 지표는 썩 좋진 않다.

물가는 여전히 고공행진 중이다. 연준이 주로 참고하는 물가 지표인 ‘6월 개인 소비자 지출’(PCE‧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 가격지수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8%, 전월보다 1.0% 올라 40여 년 만에 최대폭 상승 기록을 갈아치웠다.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Federal Reserve System)가 지난 27일 기준금리를 한 번에 0.75%포인트(p) 인상하는 ‘자이언트 스텝’(Giant Step)을 밟았다. 두 달 연속 0.75%p 인상이다. 물가를 잡겠다는 연준의 의지다.

하지만 물가 반대쪽에는 ‘경기 침체’ 가능성이 연준을 움츠리게 한다. 연준의 발표 다음 날에는 미국이 1분기에 이어 2분기도 마이너스(-) 성장이라는 좋지 않은 성적이 공개됐다.

경기 상황과 다르게 투자 심리는 불꽃 튀고 있다. 시장이 향후 금리 인상 속도가 느려질 가능성에 무게를 뒀다고 풀이된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물가와 고용 등 향후 경제 지표가 어떤지에 따라 뉴욕 증시 상승세는 다시 꺾일 수 있다고 경고한다. 투자자들이 인플레이션과 연준의 물가 안정 의지를 과소평가하고 있다는 우려도 동반된다.

투자은행(IB‧Investment Bank) ‘베어드’(Baird‧대표 스티븐 G. 부스)의 로스 메이필드(Ross Mayfield) 투자분석가(Analyst)는 미국 경제‧금융 전문 TV 채널 CNBC(Consumer News and Business Channel)와의 인터뷰를 통해 “주식을 포함한 위험자산 랠리(Rally‧강세 전환)가 충분히 펼쳐질 만했다”면서도 “이것은 결국 베어마켓 랠리(Bear Market Rally‧약세장에서의 일시적 반등)로 드러날 수 있다”고 전했다. 장기 약세장에서 이런 일은 흔하다는 말이다.

임지윤 기자 dlawldbs20@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issue
issue

임지윤 기자기사 더보기

증권 BEST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