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신문 곽호룡 기자] SK온(대표 지동섭·최재원)이 글로벌 배터리 5위 자리를 굳게 지켰다.
10일 SNE리서치가 집계한 올해 1~4월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에 따르면, SK온은 8.6GWh를 기록했다. 이는 CATL, LG에너지솔루션, BYD, 파나소닉에 이은 세계 5위에 해당하는 실적이다. 작년 6위에 위치했던 SK온 삼성SDI를 제치고 한 단계 상승한 기록이기도 하다.
성장률도 눈에 띈다. 같은 조사에서 모든 배터리기업의 평균 성장률은 83.4%를 기록했다. 141.3% 성장한 SK온이 평균을 상회하는 성장률을 기록한 것이다. 톱5 기업 가운데 SK온 보다 높은 성장률을 보인 기업은 BYD(224.5%)가 유일하다.
SNE리서치는 "SK온 배터리를 탑재한 현대차 아이오닉5와 기아 EV6 등의 판매 증가가 고성장세로 이어졌다"고 밝혔다.
향후 판매 전망도 밝다. 포드는 지난 4월말 미국시장에서 SK온 배터리를 채택한 순수전기 픽업트럭 F150 라이트닝 출고를 본격화했다. F150 라이트닝은 사전예약에만 20만대 주문이 몰리며 흥행에 성공했다. 이에 포드는 이 차량 생산량을 당초 연간 4만대에서 15만대까지 4배 가량 증산하기로 결정했다.
다만 더디게 진행되고 있는 수익성 개선이 풀어야 할 과제다. SK온은 지난 1분기 2734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2분기에도 비슷한 규모의 적자가 예상된다. 신공장 증설에 따른 초기 운영 비용은 예상 범위에 있다 손 치더라도, 러시아 전쟁 여파로 배터리 원재료 가격이 급등하고 있는 상황이 변수다. 이에 회사가 수년전부터 약속했던 올해 4분기 첫 흑자전환도 어려워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SK온이 대규모 증설을 통해 글로벌 배터리 톱3기업 도약한다는 사업계획은 긍정적이나, 자금 조달을 위해서는 사업 수익성 개선도 보여줘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곽호룡 기자 horr@fntimes.com
뉴스레터 구독을 위한 이메일 수집 및 수신에 동의하시겠습니까?
뉴스레터 수신 동의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