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당 보안 솔루션은 공식 앱스토어 등 공인된 경로가 아닌 방식으로 설치되는 앱의 악성코드를 사전에 감지하고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한다.
보이스피싱에 악용된 이력이 확인된 앱의 설치를 차단하는 것은 물론 출처가 확인되지 않은 앱을 설치할 경우에는 경고 또는 차단 알림을 팝업으로 표시하는 방식이다.
아울러 스마트폰 사용자는 출처 미확인 앱 목록을 확인하고 각 앱에 대한 제어 옵션을 직접 설정할 수 있다.
신승원 삼성전자 MX사업부 Security팀 상무는 “보이스피싱을 유도하는 악성 앱은 개인정보 유출뿐만 아니라 전화 가로채기에 활용되는 등 더욱 지능화된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라며 “보안 위협을 최소화하여 사용자들이 안심하고 갤럭시 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상반기 중 ‘갤럭시S21’ 및 ‘갤럭시S22’ 시리즈 국내 사용자를 대상으로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해당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후 순차적으로 One UI4.1 이상 적용된 국내 모든 갤럭시 스마트폰으로 대상을 확대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10월 경찰청과 보이스피싱 근절을 위한 MOU를 체결한 바 있다. 회사 관계자는 “진화하는 악성 앱에 대응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민관 협업 체계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지금 본 기사에서
어려운 금융·경제 용어가 있었나요?
자세한 설명이나 쉬운 우리말로 개선이 필요한 어려운 용어를 보내주세요. 지면을 통해 쉬운 우리말과 사례로 자세히 설명해드립니다.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