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시중은행들이 올해 초 본격적으로 막을 올린 마이데이터 시장에서 승기를 잡기 위해 공을 들이고 있다. 마이데이터는 여러 금융사나 빅테크 기업에 흩어진 개인 데이터를 한곳에 모아 관리하는 서비스다.
김 상무는 최근 한국금융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성공적인 마이데이터 고객 확보를 위해 “고객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줄 수 있는 서비스, 즉 생활 속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금융 서비스와 직관적이고 이용하기 쉬운 UI·UX가 필수적”이라며 “주식투자, 가심비, 리셀 등 최신 트렌드도 서비스에 반영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상무는 전 금융권의 각축전이 된 마이데이터 시장에서 은행권이 지닌 강점으로 장기간 쌓아온 자산관리 노하우를 꼽았다. 그는 “은행권은 장기간 고객과의 금융거래를 통해 고객이 원하는 바를 알고, 고객 맞춤형 상품을 직접 설계하고 제공할 수 있는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강점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김 상무는 “은행권이 보유하고 있는 오프라인 영업점을 통해 가장 광범위한 고객층과 접촉 가능하다”며 “이는 향후 비대면 서비스를 이용하기 어려운 디지털 취약계층에게도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채널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신한은행의 마이데이터 철학은 자산관리의 ‘심리적 장벽’을 없애는 것이다. 김 상무는 “기존에 ‘자산관리’라는 말은 부유층의 전유물로 생각돼 고객들에게 심리적 장벽이 있었다”며 “이런 심리적 장벽을 없애고 고객들이 자산관리에 편안하고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서비스 목표”라고 설명했다.
김 상무는 “머니버스의 지향점은 모든 것이 돈이 되는 세상, 자산관리의 대중화, 믿을 수 있는 서비스로 요약할 수 있다”며 “고객이 애쓰지 않아도 자산관리에 필요한 것들을 알아서 챙겨주고, 고객이 신뢰할 수 있는 맞춤형 상품을 추천해 주는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 상무는 추후 마이데이터를 중심으로 리테일 영업 판도가 바뀔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는 “현재는 금융 분야에 한정된 마이데이터를 공공, 의료, 교육 분야 등의 마이데이터로 확장해 범위를 넓히면 보다 더 개인화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이전에는 없던 혁신적인 서비스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마이데이터를 기준으로 정보를 통합 관리하다 보면 결국 모든 금융거래의 시작점이 돼 마이데이터를 중심으로 리테일 금융 판을 재점검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