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가 조만간 하나UBS자산운용의 대주주 변경승인 심사 재개 여부를 결론짓는다. 심사 재개가 결정되면 하나금융투자가 하나UBS운용을 완전 자회사로 편입하기로 계약을 맺은 지 4년여만의 인수를 마무리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앞서 하나금융투자는 2017년 9월 스위스 글로벌 금융그룹인 UBS로부터 하나UBS자산운용의 지분 51%를 인수하기로 합의하고 금융당국에 대주주 변경 승인 심사를 신청했다.
하지만 참여연대와 금융정의연대가 최순실 씨의 자금관리를 도운 이상화 전 하나은행 본부장에게 승진 특혜를 준 혐의로 하나금융 경영진을 은행법 위반 혐의로 고발하면서 같은해 12월 심사가 중단됐다.
당시 금융위는 지배구조법상 심사 대상 회사와 관련해 검찰 수사가 진행돼 심사중단을 결정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후 기소 절차까지 진행되지 않았지만, 하나UBS자산운용 대주주 변경 심사는 그룹의 지배구조 이슈와도 맞물려 4년이 넘게 금융당국에 계류돼있다.
금융당국이 인허가 심사중단제도 개선방안을 내놓은 뒤부턴 분위기가 사뭇 달라졌다. 금융위는 지난해 10월 금융회사 지배구조 감독규정을 개정해 '심사를 중단한 날부터 매 6개월이 경과할 때마다 심사 재개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고 법적 의무를 명시했다.
금융당국은 심사중단제도에 따라 금융사에 대한 소송·조사·검사 등이 진행 중인 경우 인허가와 대주주 변경승인 심사 절차를 중단할 수 있다. 하지만 금융사가 고발당하거나 조사·검사가 진행 중이면 심사가 일률적으로 무기한 중단돼 과도한 규제라는 지적이 많았다.
금융위는 기본원칙, 심사중단 사유 관련 진행단계별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인허가・대주주변경승인 심사중단 및 재개 여부를 판단한다. 하나UBS자산운용의 심사중단 사유가 검찰 고발 단계였던 점을 고려하면 심사 재개 가능성이 커진 것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현재 하나금융투자의 대주주 변경 심사 재개 여부를 논의하고 있다”며 “검토 후 결정이 되면 금융위 의결을 거쳐 확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