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헌동 사장은 “SH가 강동·송파·항동·세곡에 공급한 아파트의 평균 건축비가 평당 600만원, 25평 기준으로 1억5천만원"이라며 "얼마든지 3억∼5억원에 분양이 가능하다"고 발언했다.
아울러 김 사장은 이 자리에서 '서울형 건축비'를 도입해 고품질 아파트인 가칭 '백년주택'을 공급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그는 "SH가 지방공기업이라 정부가 정한 '기본형 건축비'를 적용할 수밖에 없는데 서울형을 따로 만들어 건축비를 (25평 기준) 2억원∼2억5천만원으로 책정해 더 질 좋은 건물을 분양하겠다"고 역설했다.
김 사장은 “현재는 정부가 건축비를 정하다 보니 이익을 내려면 재료의 질 등이 떨어지는 문제가 생긴다”고 지적하며, "'서울형 건축비'는 품질 좋은 주택 공급을 위해 SH가 지은 아파트 중 가장 잘 지어진 것을 기초로 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공개 대상인 세곡2지구 1,3,4,6단지는 2013년부터 2014년까지 분양한 단지로 전체 공동주택 8개 단지 중 공사가 자체시행 및 분양한 단지들이다.
분양원가 자료는 2021년 11월 9일 서울시가 발표한 SH 5대공사 혁신방안에 따라 지난 1월 공개한 항동/오금지구와 동일하게 21개(택지조성원가 10개 항목 및 건설원가 11개 항목) 항목으로 정리해 공개한다.
김헌동 사장은 “강남 지역이라 하더라도 건설원가(건축비용)는 타 지역과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제는 돈을 조금 더 들이더라도 질 좋은 주택을 공급하도록 노력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