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13일 진행된 민간 사전청약 특별공급 경쟁률. / 자료제공=한국부동산원 청약홈
[한국금융신문 김관주 기자] 그간 공공분양에서만 진행된 사전청약이 민간 영역에서 첫 시행했지만 미달이 대거 쏟아지며 초라한 성적표를 받게 됐다. 최근 공공분양 사전청약이 흥행 속에 마감된 것과 비교하면 수요자들에게서 외면을 받았다는 평가다.
14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전날 진행된 평택고덕, 오산세교2, 부산장안 등 3개 지구 특별공급 사전청약 결과, 1456가구 모집에 4257명이 접수해 평균 경쟁률 2.92대 1을 나타났다. 지난 3일 진행된 수도권 3차 공공분양 특별공급의 평균 경쟁률이 16.7대 1을 기록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지구별로는 평택고덕이 가장 높은 경쟁률을 기록했다. 281가구 공급에 3000명이 신청하며 10.68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오산세교2는 864가구 모집에 1139명이 신청해 경쟁률이 1.32대 1을 기록했다. 다만 전용면적 72㎡는 0.67 대 1로 미달했다. 부산장안의 경우, 311가구 공급에 118명이 신청해 전 타입 모두 모집 가구 수를 다 채우지 못했다.
업계에서는 예견된 결과라는 지적이 나온다. 공공 사전청약보다 청약 대기 수요가 낮은 지역에 물량이 공급됐다고 봤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청약시장에서는 입지에 따라 실수요자들의 ‘옥석 가리기’가 극명하게 나타나고 있다.
실제로 이번 3차 사전청약 특별공급에서도 지역별 양극화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가장 높은 경쟁률을 보인 곳은 하남교산 전용 59㎡로 597가구 모집에 2만2486명이 몰렸다. 경쟁률은 37.7대 1이 나왔다. 과천주암 전용 84㎡도 94가구 공급에 2742명이 몰려 29.2대 1의 경쟁률을 냈다. 과천과 하남은 강남 접근성이 높아 주거 선호지역으로 꼽힌다. 반면 양주회천은 미달이 났다. 전용 59㎡는 699가구 모집에 596명이 접수했고 0.9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임병철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민간 사전청약은 시세의 60~80%로 저렴한 분양가와 다양한 민간 브랜드로 공급해 긍정적”이라며 “다만 이번에 사전청약을 실시한 곳들이 직주근접과 서울 접근성 등이 떨어지는 지역이라 입지적인 측면에서 불리하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한 무주택 실수요자들이 사전청약 후 입주까지 11년, 전매제한 최고 10년까지 기다리며 임대시장에서 버티는 일은 녹록지 않다. 또한 민간 사전청약 당첨자는 다른 공공·민간 사전청약은 물론 일반 분양 단지 청약에도 지원할 수 없다.
이은형닫기이은형기사 모아보기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사전청약 특성상 실제 입주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적지 않다. 매매시장의 수요는 일부 흡수하겠지만 임대시장에 가해지는 부하는 경감되지 않는다”며 “정부는 민간 정비사업 등을 포함한 다양한 주택 공급 방안을 병행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14일과 15일에는 3개 지구의 일반공급 1순위와 2순위 청약이 진행된다. 당첨자 발표일은 오는 22일이다.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