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총재는 이날 오전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기획재정위원회의 한국은행 국정감사에 참석해 11월 금리 인상 가능성을 묻는 박형수 국민의힘 의원의 질의에 이같이 밝혔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지난 12일 기존 연 0.75%인 기준금리를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지난 8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연 0.5%에서 0.25%포인트 인상한 이후 한 차례 동결한 것이다.
이 총재는 이달 기준금리 동결 이유에 대해 “8월에 이어 금리를 연속적으로 (금리를) 올리기보다는 최근 금융시장의 불안과 변동성이 높아지고 글로벌 경제 리스 요인이 있었다”며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심화로 거기에 따른 경기둔화 우려도 있고, 코로나19 방역 단계도 아직은 강화된 상황이어서 좀 더 지켜보자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금리를 올리면 물가상승률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되냐는 질문에는 “연속적으로 (금리 인상이) 이뤄지면 시차를 두고 (물가안정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며 “정책 시차가 통상 2분기에서 4분기 얘기하니까 당장의 효과는 기대가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금리가 물가에 영향을 주지만 공급 측면의 물가 상승이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그 효과는 제한적”이라고 덧붙였다.
내년 물가상승률에 대해서는 “2%에 근접하는 수준이 될 것”이라며 지난 8월 물가상승률 전망치 1.5%를 상회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공급 측 요인, 특히 에너지 가격과 곡물 가격 요인에 의한 (물가) 상승이 강한 것은 맞지만 경기 회복 속에 나타나는 현상”이라며 “글로벌 국가들의 성장률도 견조하기 때문에 우려할 수준이 아니라고 본다”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기준금리 인상이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옹호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서는 “부동산 시장도 고려하지만 그것을 목표로 한다든지 정부의 요구 때문에 금리를 결정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