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글로벌 파운드리 시장 6.2% 성장
매출 점유율, TSMC 52.9%·삼성전자 17.3%…동반 하락
[한국금융신문=정은경 기자] 올해 2분기 글로벌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시장이 성장했지만, 업계 1, 2위를 차지한 TSMC와 삼성전자의 점유율은 전 분기 대비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전 세계 파운드리 기업 상위 10곳의 매출 합계는 244억700만달러(약 28조2511억원)로 전 분기 대비 6.2% 증가했다. 이들의 매출 점유율은 전체의 97%로, 사실상 전체 파운드리 매출 규모와 유사한 셈이다.
트렌드포스는 “포스트 코로나19 상황 속 업계 전반에서 5G 통신으로의 전환에 따른 반도체 수요 증가, 만성적인 공급부족 등의 요인으로 2분기에도 반도체 ‘패닉 바잉’이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이어 “2분기 매출은 직전 분기보다 6.2% 늘었으며, 2019년 3분기 이후 8분기 연속 최고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다”고 전했다.
기업별로 보면, 파운드리 업계 1위인 대만의 TSMC는 2분기 매출 133억달러를 기록했다. 전 분기 대비 3.1% 증가한 수준이다. 반면, TSMC 매출 점유율은 52.9%로 전 분기(54.5%) 대비 1.6%p(포인트) 하락했다.
트렌드포스는 “지난 4월 P7 팹에서 발생한 정전과 5월 가오슝에 기반을 둔 생산시설이 일시 중단에 따른 일부 웨이퍼가 폐기된 것이 매출에 악영향을 줬다”고 밝혔다. 이어 “TSMC의 분기 매출은 다른 파운드리 업체에 비해 성장성이 낮았다”며 “경쟁사에 일부 시장 점유율을 뺏겼다”고 지적했다.
삼성전자의 2분기 매출은 전 분기 대비 5.5% 증가한 43억3000만달러로 2위에 올랐다. 반면, 시장 점유율은 17.3%로 전 분기 대비 0.1%p 감소했다.
트렌드포스는 “올해 초 미국 오스틴 파운드리 공장 셧다운 여파로 2분기에도 매출에 차질이 있었지만, 이미지센서와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 등 제품에 대한 강한 수요로 전반적인 매출은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대만의 UMC는 18억1900만달러의 매출을 기록하며 3위에 올랐다. 미국의 글로벌파운드리는 15억2200만달러로 4위를 기록했다.
중국 파운드리 업체 SMIC는 2분기 매출 13억4400만달러를 기록하며 5위를 유지했다. 지난 1분기와 비교하면 약 21.8% 증가했다. 특히 SMIC의 매출 성장률(21.8%)은 상위 10개 업체 중에서 가장 크다는 점이 눈에 띈다.
트렌드포스는 3분기 전망에 대해 “주요 파운드리 기업들이 생산시설 가동률을 100%로 유지하고 있지만, 여전히 강한 수요에 못 미치는 상황”이라며 “파운드리 업체들은 수익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평균판매가격(ASP)을 계속해서 높일 것이며, 3분기 파운드리 시장 매출은 또다시 최대치를 경신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