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한국금융신문이 4대 금융지주(신한·KB·하나·우리)의 올 상반기 경영실적을 분석한 결과 KB금융은 3조8177억원의 충전이익을 기록해 영업력 측면에서 1위를 차지했다. KB금융의 충전이익은 작년 상반기보다 28.6% 늘었다. 이자이익과 수수료이익 등 핵심이익이 견조하게 증가했고 M&A를 통한 비유기적 성장으로 이익 안정성이 높아진 결과다.
신한금융의 충전이익은 지난해 상반기 대비 12% 증가한 3조7349억원으로 집계됐다. KB금융과 828억원의 근소한 차이로 2위에 올랐다. 신한금융은 그룹 전 부문의 이익이 고르게 성장한 가운데 사업부문제, M&A 등 전략적 추진 사업 성과가 가시화됐다는 평가다. 금융투자, 캐피탈, 자산운용 등 자본시장 관련 자회사 손익 기여도도 높아졌다.
이어 하나금융이 작년 상반기보다 9.7% 늘어난 2조5677억원의 충전이익을 기록해 3위 자리를 지켰다. 우리금융의 경우 가장 큰 폭으로 충전이익을 끌어올렸다. 우리금융의 충전이익은 2조1880억원으로 35.2% 불었다.
상반기 순이자마진(NIM)은 1.82%로 1년 전에 비해 0.04%포인트 상승했다. 은행 원화대출금은 작년 말 295조5000억원에서 올 상반기 301조5000억원으로 2% 늘었다.
신한금융의 상반기 이자이익은 4조3564억원으로 작년 상반기 대비 8.3% 증가했다. NIM이 1년 전보다 0.03%포인트 떨어졌지만 은행 원화대출금이 259조2000억원으로 작년 말(248조8000억원) 대비 4.2% 불며 선방했다.
4대 금융은 비은행 부문의 성장세에 힘입어 수수료이익과 유가증권 관련 이익을 중심으로 비이자이익에서도 모두 호조를 보였다.
신한금융은 상반기 2조원이 넘는 비이자이익을 거둬들였다. 신한금융의 상반기 비이자이익은 작년 상반기보다 13.1% 늘어난 2조143억원으로 4대 금융 가운데 가장 많았다. 비이자이익 가운데 수수료이익이 1조4040억원, 유가증권 및 외환·파생 관련 손익이 8293억원으로 각각 24.3%, 27.8% 늘었다.
KB금융의 비이자이익은 1조8092억원으로 지난해 상반기 대비 35.9% 증가했다. 수수료이익이 1조8326억원으로 32.7% 늘었다.
하나금융의 비이자이익은 1조3287억원으로 5.7% 늘었다. 신용카드수수료(4304억원)와 여신 및 외환 관련 수수료(2610억원, 자산관리 관련 수수료(4023억원)을 중심으로 수수료이익이 16.7% 증가한 1조2613억원을 기록했다.
우리금융의 비이자이익은 7210억원으로 집계됐다. 증권 자회사는 없지만 올해 턴어라운드된 자산관리(WM) 영업과 유가증권 부문 호조, 캐피탈 등 자회사 편입 효과가 더해진 결과 작년 상반기에 비해 54% 늘었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