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세훈 금융위원회 금융정책국장은 지난 11일 오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2021 한국금융미래포럼 : 포스트 코로나 지속경영 ESG에서 답을 찾다’ 패널토론에서 ESG 관련 핵심 대응 방안을 이같이 제시했다.
이 국장은 “ESG와 관련해 정부 내에서 가장 큰 고민거리는 ESG가 일시적인 유행이냐는 것과 지속성을 갖고 흐름을 유지해나갈 수 있냐는 것”이라며 “지속성을 갖게 하려면 어떤 것들이 뒷받침돼야 하느냐에 관심을 갖고 논의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국장은 ESG를 기업가치에 내재하는 접근 방법으로 ‘직접규제’와 ‘간접규제’를 꼽았다. 그러면서 “두 규제를 위해 갖춰야 할 인프라는 어떤 것이 ESG인지에 대한 가이드라인과 어떻게 기업의 ESG를 평가할 것이냐는 기준”이라며 “이러한 인프라가 없으면 소위 ‘워싱’이라는 무분별한 ESG 투자가 일어나게 된다”고 말했다.
이러한 기반을 갖추기 위해 금융당국은 크게 ESG 범주 및 가이드라인 정립, 기업 ESG 정보 공시·공개, 기업 ESG 활동 평가 기준 마련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 국장은 “ESG 범주와 가이드라인을 명확히 하는 부분은 환경부와 법무부에서 준비하는 과정이 있었고 금융위에서도 여러 가지 선진국 사례를 감안해 금융권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있다”며 “올해 중 가이드라인은 모습을 갖춰나갈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 현장에서 쓸 수 있도록 적용하는 것과는 상당한 시차가 있을 수 있어 인내심을 갖고 지속적으로 작업을 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국장은 “공시를 해야 하는 기업 입장에서도 규제 수용성 측면에서 순차적으로 기업이 할 수 있는 속도를 맞춰달라는 요청이 있어 TCFD 기준을 그대로 바로 적용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다”며 “일단 자율공시로 큰 회사 위주로 시작으로 해보고 여건이 성숙되면 점차 확대해 나가는 순서로 가려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국내 일정과 무관하게 전 세계적으로 큰 흐름이기 때문에 국제사회에서는 훨씬 더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며 “기업들도 시간이 충분하게 남았다고 생각하기보다는 언젠가는 다가올 흐름을 미리미리 준비해야 한다는 인식을 갖는 게 좋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업 ESG 활동 평가에 대해서는 “민간평가기관뿐 아니라 국민연금도 ESG 평가를 하고 있고 산업부도 평가모형을 개발하고 있다”며 “역시 방법론이 나왔다고 해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게 아니라 수정·보완 작업을 통해 평가에 대한 경험이 쌓여야 하기 때문에 시장에서 신뢰할 수 있는 평가 기준 나오려면 상당한 시간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이 국장은 “가장 중요한 핵심 요소는 금융권의 ESG 인식을 제고하고 리더십을 발휘하도록 하는 것”이라며 “각 금융회사에 기회가 있을 때마다 ESG 중요성에 대해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있고, ESG에 대해서 금융이 적극적이고 선도적인 역할 해나갈 수 있게 하려고 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