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감원은 이날 오전 4차 제재심을 열고 신한은행과 신한금융지주에 대한 부문 검사 결과 조치안에 대한 심의를 시작했다. 앞서 지난 8일 3차 제재심에서 우리은행 안건이 마무리됐고 이날 신한은행에 대한 기관, 임직원 제재가 결정될 전망이다.
중징계가 확정되면 진 행장의 3연임이나 금융지주 회장 도전은 어려워진다. 이에 따라 진 행장이 해외금리연계형 파생결합펀드(DLF) 사태로 문책경고를 받은 뒤 행정소송을 낸 손태승닫기

이날 제재심에서는 내부통제 부실로 최고경영자(CEO)에 대한 중징계를 할 수 있는지가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금감원은 금융회사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 24조(내부 통제 기준)와 이 법의 시행령 제19조 ‘내부통제기준 마련 미비’ 등을 근거로 CEO 제재가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반면 신한은행은 해당 법 조항이 경영진에 제재를 가할 수 있는 직접적인 근거는 아니라고 맞서고 있다.
징계수위가 낮춰질 수 있을지도 관건이다. 신한은행은 전날 이사회를 열고 손실이 확정되지 않은 라임 크레딧인슈어드(CI) 펀드에 대한 금감원 분쟁조정위원회의 조정안(손해액 40∼80% 배상)을 수용하기로 결의했다.
앞서 금감원 제재심은 우리은행의 소비자 피해 구제 노력을 인정해 라임 펀드 판매 당시 은행장이었던 손태승 회장에 대한 징계를 당초 사전 통보한 ‘직무정지’에서 문책경고로 한 단계 낮췄다. 다만 금감원 내부에서는 신한은행이 우리은행에 비해 소비자 보호 노력에 있어 적극성이 부족했다는 기류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신한금융지주도 제재 대상이다. 조용병닫기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