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ce 1992

대한민국 최고 금융경제지

닫기
한국금융신문 facebook 한국금융신문 naverblog

2024.11.22(금)

[ESG경영] 신동빈·정용진·정지선, 입 모아 ‘ESG’ 강조

기사입력 : 2021-03-02 00:00

  • kakao share
  • facebook share
  • telegram share
  • twitter share
  • clipboard copy

롯데·신세계·현대百 지속가능 성장 역점
소비자 눈높이 부응, ‘가치소비’가 핵심

[ESG경영] 신동빈·정용진·정지선, 입 모아 ‘ESG’ 강조이미지 확대보기
[한국금융신문 유선희 기자] 신동빈닫기신동빈기사 모아보기 롯데그룹 회장, 정용진닫기정용진기사 모아보기 신세계그룹 부회장, 정지선닫기정지선기사 모아보기 현대백화점그룹 회장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강조하고 있다. ESG는 기업이 사회와 환경에 얼마나 기여하고 건전한 지배구조를 갖고 있는지 등 비재무적 관점으로 평가하는 지표다. 특히 소비자에 민감한 유통 대기업들은 점점 높아지는 구매자들의 기준점에 맞춰 새 전략을 내세우는 중이다. 스튜어드십 코드(기관투자자의 의결권 행사 지침) 등 주주 친화 정책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 관련 투자가 활발해지는 것도 ESG가 기업 경영의 핵심으로 떠오른 이유다. ESG가 기업 평가의 새 척도로 자리매김하면서 이에 따라 각 그룹 계열사들은 지속 가능한 성장체계를 만드는 데 힘쓸 전망이다. 환경과 기업이 공존하는 구조를 만드는 것에 핵심이 있다.

◇ 2015년부터 선제적으로 도입한 롯데그룹

매출과 영업이익 등 경제적 지표에 집중해 기업을 평가해온 이전과 달리 갈수록 경영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기업들이 생산하는 사회적 가치들이 주요 경영 화두가 됐다. 2015년부터 일찌감치 ESG 경영 체계를 도입한 롯데그룹이 돋보인다. 신동빈 롯데 회장은 2015년 하반기 사장단 회의에 참석해 “친환경적인 경영, 사회적 책임, 그리고 투명한 지배구조는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직결되는 사항임을 명심해달라”고 말했다. 이후 3대 비재무적 성과인 ESG를 사장단 평가에 반영하겠다고 공표하고 이 지표를 임원 인사평가에 반영하고 있다.

롯데는 지난해 ‘자원 선순환 프로젝트’를 시작하고 플라스틱 선순환 체계 구축, 친환경 패키징 확대, 식품 폐기물 감축을 3대 실천 과제로 선정했다. 장기적으로는 그룹 전 분야에 ‘5Re(Reduce·Replace·Reduce·Redesign·Reuse·Recycle, 감축·대체·재설계·재사용·재활용)’ 모델을 적용할 방침이다. 신 회장은 올해 신년사에서도 주요 경영 화두로 ESG를 내세웠다. 기업가치와 직결되는 ESG 경영에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 회장은 “ESG 요소는 비전과 전략을 수립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며 “사회적 가치는 기업 생존·사업의 성패를 결정짓는 핵심 사항이다. ”규제에 대응하는 식의 접근은 바람직하지 않고, 더 나아가 어떤 사회를 만들고 싶은지, 어떤 사회적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지 적극적으로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오너의 의지에 따라 계열사들은 ESG를 강화하고 있지만 등급은 천차만별이다.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은 지난해 롯데지주와 롯데칠성음료의 ESG 종합 등급을 ‘B+’로 평가했다. 반면 롯데쇼핑, 롯데정밀화학, 롯데정보통신, 롯데제과 등은 A를 받았다. 특히 롯데지주는 환경과 지배구조 영역에서 B등급에 머무르고 있다. 롯데는 순환출자 개선을 위해 2017년 지주사 체제로 전환하고 지분들을 정리해오면서 지배구조를 정리하는 중이다. 그러나 지분율로 따지면 지주사의 대주주는 호텔롯데로 ‘옥상옥’ 구조를 벗어나지 못했다. 중간 지주사 격인 호텔롯데의 기업공개(IPO)로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지만,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에 호텔과 면세 사업 실적이 크게 나빠지면서 요원해졌다.

◇ ESG 체계 급속도로 개선한 현대백화점그룹

정지선 회장은 올해 창립 50주년을 맞아 ‘비전 2030’을 선포하고 ESG 경영 강화에 팔을 걷어붙였다. 백화점과 면세점 등 유통 계열사 외에도 의류, 인테리어, 건자재와 같은 계열사를 둔 현대백화점그룹은 다방면에서 친환경 사업을 도입하고 있다. 예컨대 한섬은 재고 의류 폐기 방식을 바꾸는 ‘탄소 제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기존에는 판매하고 남은 재고 상품은 브랜드 관리를 위해 불태워 없앴지만, 의류 생산업체가 환경오염을 악화한다는 지적에 따라 폐기 처리 방식을 변경했다. 재고 의류를 고온과 고압으로 성형해 친환경 인테리어 마감재(섬유 패널)로 만들어 활용하게 된다. 한섬은 연간 144t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소를 기대하고 있다.

노력에 힘입어 현대백화점과 현대그린푸드·리바트·홈쇼핑·한섬 등 계열사들의 ESG 등급은 ‘A’로 준수한 편에 속한다. 2018년만 해도 현대그린푸드·리바트·홈쇼핑이 ‘B+’, 현대백화점·한섬은 ‘B’였던 것과 비교해 ESG 지표를 단기간 끌어올린 셈이어서 주목할 만하다. 그간 현대백화점그룹 계열사들이 결산배당금이 적다는 지적을 받아온 상황이기 때문이다. 배당금 규모는 주주 친화 정도를 가늠하는 주요 지표로, ESG 경영을 논할 때 종종 등장한다. 국민연금은 2019년 주요 주주로 있는 현대그린푸드와 현대리바트에 과소 배당을 지적하며 재무제표 승인을 거절할 정도였다. 같은 해 8월 현대백화점그룹은 기업지배구조헌장을 제정하고 감사위원회, 내부거래위원회 등 각종 위원회를 설치해 개선 작업에 나섰다.

그 결과 현대백화점의 배당성향은 2018년 5.5%에서 2019년 11%로 올라섰다. 2020년에는 코로나19로 지난해 영업이익이 53% 감소했지만 전년과 동일하게 보통주 1주당 1000원을 유지했다. 회사 측은 “올해부터 2023년까지 배당 성향을 10% 이상 유지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 경쟁사에 비해 등급 낮은 신세계, “책임경영·주주가치 주시할 필요”

신세계그룹은 경쟁사에 비해 ESG 등급 지표가 낮은 편이다. 신세계·신세계인터내셔날·이마트가 ‘A’, 신세계I&C·광주신세계 ‘B+’, 신세계건설 ‘B’ 등이다. 신세계그룹은 ‘그린 신세계’를 내세우며 친환경과 사회 공헌 활동에 집중하고 있다. 이마트는 세제 리필 매장을 운영하며 플라스틱 용기 사용을 줄이고 있다.

신세계푸드는 자체 개발한 친환경 아이스팩을 그린 패키징 공모전에 출품해 환경부 장관상을 받았다. 일반 아이스팩은 땅에서 자연 분해되는데 100년 이상 걸리지만, 신세계푸드 아이스팩은 사탕수수 등 생분해 필름을 적용해 3개월이면 분해된다는 설명이다.

지배구조와 관련해서는 책임경영과 향후 진행될 지분 정리 작업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있다. 대신지배구조연구소는 “총수 일가가 등기임원으로 등재된 상장계열사가 없다”며 “경영 의사결정에 실질적 영향을 미치는 총수 일가가 임원으로 등재하는 것은 책임경영 측면에서 필요한 사항”이라고 지적했다. “지배구조 개편작업의 완성을 위해 정용진 부회장과 신세계, 이마트가 공동으로 보유하고 있는 광주신세계, SSG닷컴 등에 대한 지분정리가 진행될 예정으로, 지분매각과정에서 주주가치 훼손우려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유선희 기자 ysh@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issue
issue

유선희 기자기사 더보기

유통·부동산 BEST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