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신문 강규석 기자] 국제금융센터는 19일 '코로나19發 글로벌 식량위기(food crisis) 우려 점검'라는 보고서에서 "코로나19 이후 기후∙보건 등 초지구적(transnational)∙구조적 요인이 부각되고 있는 데다 중국 등 신흥국 수요가 증가할 경우 식량위기 우려가 더욱 커질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작년 작년 12월 세계 식량가격(FAO 107.5)이 6년래 최고치 경신하며 국제기구 등을 중심으로 금년에 글로벌 식량위기(foodcrisis)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국금센터의 이상원 연구원은 글로벌 식량 위기 유발요인을 5가지로 분류했다.
첫째로 이상기후 현상의 심화로 잦은 가뭄∙폭염∙한파∙폭우 등 기상이변에 따른 작황부진이 식량 공급의 차질을 초래해 시장수급에 상당한 타격을 줄 우려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둘째로 코로나19 사태의 장기화로 계절노동자의 이동제한 등으로 일손이 부족해지면서 농작물의 파종∙수확 중단 등 생산에 차질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다.
셋째로 식량자원민족주의로 인해 각국이 식량안보(foodsecurity) 강화 차원에서 자급률제고(moreself-supply)에 나설시 세계적 식량부족으로 가격상승이 가속화되며 수급불균형이 심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넷째로 바이오연료 수요를 들었는데 파리협약 재개입을 약속한 바이든 행정부가 바이오연료 생산확대 정책으로 선회하면서
주원닫기
주원기사 모아보기료인 옥수수∙대두 등에 대한 수요가 증대할 것으로 진단했다.
다섯째로 비수급 요인으로 글로벌 과잉유동성 속에 헤지펀드 등 투기자금이 농산물로 대거 유입되어 미달러 약세가 계속되면서 식량가격 추가 상승을 부추길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이 연구원은 또한 "중국이 금년 상반기 중에 돼지개체수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며 "코로나19 사태로 미국산 제품 수입 약속을 지키지 못한 상황에서 미국산 농산물 구매를 늘리면서 식량가격 상승을 부채질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더욱이 이동제한으로 인도적 구호활동이 쉽지 않은 상황에서 식량자원 민족주의(food nationalism)가 확산될 경우 수입의존도가 큰 빈곤국 일수록 사회∙경제적 타격이 커질 소지가 있다"고 첨언했다.
강규석 기자 nomadkang@fntimes.com
뉴스레터 구독을 위한 이메일 수집 및 수신에 동의하시겠습니까?
뉴스레터 수신 동의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