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신문 장호성 기자] 서울에서 집을 가지고 있는 가구라도, 집값 상승의 덕은 최상위 계층일수록 더 많이 본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국토교통부와 통계청이 국민의힘 김상훈 의원(대구 서구, 국토교통위원회)에게 제출한‘서울 유주택 가구의 주택자산 현황’에 따르면,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서울의 (주택자산가액) 상위 10%의 주택자산은 5억 1천 3백만원 증가한 반면, 하위 10%는 1천 3백만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상위 10%의 주택자산 증가폭은 文정부 들어 늘어났는데, 2015~2016년에는 12억 3천 2백만원에서 13억 7천 9백만원으로 1억 4천 7백만원 증가한 반면, 文정부가 들어선 2017년에는 15억 3천 9백만원으로 전년 대비 1억 6천만원, 2018년에는 17억 4천 5백만원으로 2억 6백만원 증가했다.
반면 하위 10%의 경우, 2015년 5천 6백만원에서 2016년에 6천 2백만원으로 6백만원 증가했고, 2017년에는 3백만원 증가한 6천 5백만원, 2018년에는 4백만원 늘어난 6천 9백원이었다. 상위 10%와 달리 자산의 증가세가 둔화된 것이다.
이에 상・하위10%간 주택 자산 격차는 2015년 11억 7천 6백만원에서, 2018년 16억 7천 6백만원으로 5억원 가량 더 늘었다. 더욱이 9분위와 8분위 계층 또한 1억 5천여만원에서 2억원 이상의 자산 증식이 일어난 반면, 1~6분위까지는 자산 상승분이 채 1억도 되지 못했다.
김상훈 의원은 “文정부 들어 집값 상승이 집가진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을 가르는 것은 물론, 집가진 사람도 어디에 보유하고 있느냐에 따라 자산 격차가 극명히 갈렸다”라고 지적하고,“양극화된 자산은 결국 미래 세대의 계층까지 영향을 미친다. 향후 닥쳐올 부작용에 대해 지금부터라도 논의가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
뉴스레터 구독을 위한 이메일 수집 및 수신에 동의하시겠습니까?
뉴스레터 수신 동의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