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스리룸 등 빌라 상품들의 인기 속 원룸의 전세가격은 상대적으로 하락하는 모습이 감지된다.
다방에 따르면 2020년 9월 서울시 원룸(전용면적 33㎡ 이하의 원룸) 평균 월세는 47만 원으로 지난달 대비 4%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방에서 데이터 집계를 시작한 2018년 이후 가장 낮은 가격이다. 서울 25개 구 중 14개 구에서 월세가 전달 대비 하락•보합세를 이뤘다.

반면 종로구(53만 원)와 용산구(49만 원)는 지난달과 비교해 각각 8%, 7%나 올랐고, 강남 3구(강남구 60만 원, 서초구 61만 원, 송파구 53만 원)도 3~5% 상승해 예년 가격을 회복했다.
원룸 시장과 달리 서울 투•스리룸 시장(전용면적 60㎡ 이하의 투•스리룸)은 전체적으로 상승세를 보였는데 서울 25개 자치구 중 16개 자치구에서 월세가 상승, 이달 서울 투•스리룸 평균 월세는 72만 원으로 8월과 비교해 4% 상승했다. 특히 중랑구(63만 원), 관악구(70만 원), 영등포구(69만 원), 양천구(66만 원)는 전달 대비 10% 이상 크게 올랐다. 반면 서대문구(70만 원), 은평구(55만 원), 도봉구(56만 원) 등 전달 대비 7~9%가량 하락한 곳도 있었다.
스테이션3 다방 데이터 분석 센터 관계자는 “서울 원룸 평균 월세가 지난달에 이어 다시 한번 하락세를 보였다. 9월에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재확산 이슈로 전·월세거래량이 감소한데다, 저금리 기조로 임차인들의 전세 선호현상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라며 “반면 집값 상승 및 정책 변화로 인해 소형 아파트를 대체할 수 있는 투•스리룸 시장이 오름세를 보인다”라고 말했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