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국토위 국감의 최대 쟁점은 급등한 집값에 대한 책임 공방이다. 서울ㆍ수도권 집값 급등과 임대차법 개정 이후 발생한 전세난을 놓고 폭등의 원인을 파헤칠 계획이다.
지난 3월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 가격이 9억원을 넘어선지 불과 6개월만에 10억원의 벽을 뛰어넘었다.
여기에 더해 임대차법 시행 이후 실거주 요건이 강화됨에 따라 전세 매물이 시장에서 사라지며 전셋값도 급등하고 있다.
감정원 통계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65주째 상승세다. 가을 이사철을 맞아 전세 매물 찾기가 더욱 힘들어지며 서울과 수도권 곳곳에서 전셋값 상승이 이어지고 있다.
국토위 소속 야당 의원들은 정부의 억압적인 시장 규제와 과도한 조세 정책들이 집값 폭등의 원인이 됐다고 지적한다. 또한 개정 임대차법 시행으로 전세대란이 심화되었다며 국토부와 여당에 대한 정책 실패 책임을 물을 예정이다.
이 외에도 분양가 상한제, 3기 신도시, 부동산거래분석원(가칭) 등 정부와 여당의 다양한 부동상 정책에 대해 갈등이 예상된다. 특히 최장수 국토부 장관인 김현미 장관의 발언과 제기되고 있는 문제에 대한 대책에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보여진다.
홍지인 기자 helena@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