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연구위원은 이날 오후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2020 한국금융투자포럼 : 코로나 이후 글로벌 자산배분 전략’에서 “세계경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와 무관하게 원래의 궤적을 쫓아가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코로나19는 각국 정부로 하여금 강력한 정책대응을 이끌어냈지만 그렇다고 세계수요가 폭증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라며 “앞으로 글로벌 저수요 상황은 좀 더 이어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연구위원은 “마이너스 성장률로 추락하는 국가의 비중이 2008년과 비슷하다는 것은 지금의 경제충격 강도가 금융위기 때와 버금감을 시사한다”며 “과거 4년 전 수준으로 낮아진 세계수요도 단번에 회복되긴 어려울 것”이라고 관측했다.
김 연구위원은 또 “기업이익이 그간 경기나 부채 사이클과 밀접했고 통화정책에 후행하는 속성도 어닝 사이클이 시차를 두고 지금보다 약해질 가능성을 시사한다”며 “이 같은 수요둔화는 몇몇 국가의 재정 통화정책만으로는 조기에 극복하기 어렵다”고 진단했다.
김 연구위원은 이미 코로나19 사태 이전 수준으로 회복한 주식시장에서는 향후 변동성이 높아질 수 있다고 관측했다.
김 연구위원은 “현재의 경기충격이 2008년 금융위기 사태보다 크다는 점을 고려하면 저압경제는 더 길게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며 “주식시장은 이미 코로나19 사태 이전으로 회복하고도 남았기 때문에 향후 우여곡절이 있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