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나 깨나 조심해야 할 게 옛날엔 불조심이었다면 요즘은 금융사기다. 금융과 관련된 범죄 중에서 파밍과 피싱, 스미싱과 같은 신종범죄는 몇 번을 들어도 무슨 말인지 구분이 잘 안 된다. 그래도 사기 수법이 많이 알려져 이에 대한 대처법도 많이 회자되고 있다. 심지어는 사기범이 당황해서 화를 내는 경우도 있다. 여기에 사기 수법 또한 날로 발전하고 있다.
전화로 경찰, 검찰, 금융감독원 등을 사칭해서 돈을 보내라거나 협박을 하는 게 있다. ‘보이스피싱(voice phishing)’이라 불리는 ‘사기전화’, ‘전화 금융사기’는 특히 노년층이 피해를 입고 있다.
‘파밍(pharming)’은 전자금융사기 기법 중 하나로 컴퓨터를 악성코드에 감염시켜 컴퓨터 사용자가 미리 심어놓은 가짜 사이트에 접속하도록 유도하여 금융정보를 빼가는 사기 수법을 말한다. 국어원은 ‘인터넷 금융사기’로 순화했다. 인터넷 주소를 아무리 정확하게 입력해도 가짜 사이트로 연결되기 때문에 스미싱보다 더 위험하다.
※ 한국금융신문은 국어문화원연합회와 쉬운 우리말 쓰기 운동을 함께 합니다.
[관련기사]
- [오늘의 쉬운 우리말] 신파일러는 금융저이력자 어때요?
- [오늘의 쉬운 우리말] 슈퍼세이버는 '과잉저축자'로
- [오늘의 쉬운 우리말] 피비(PB)는 맞춤은행? 자체 상표?
- [쉬운 우리말 쓰기] ‘캐시 카우’는 ‘돈줄’로, ‘갭투자’는 ‘시세차익 투자’로
- [오늘의 쉬운 우리말] ‘갭투자’가 시세차익 투자라는데...
- [오늘의 쉬운 우리말] ‘파킹통장’을 우리말로 바꾼다면?
- [오늘의 쉬운 우리말] ‘캐시카우’는 현금 나오는 젖소?
- [오늘의 쉬운 우리말] 규제를 왜 샌드박스에 넣지?
- [오늘의 쉬운 우리말] ‘언팩’이 무슨 뜻? ‘언박싱’은?
- ‘쉬운 우리말 쓰기’ 8월부터 시작합니다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