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병두 부위원장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금융발전심의회 모두발언에서 "코로나19로 인한 경제·고용충격이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에 가중되면 소위 양극화 심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며 이같이 제시했다.
하지만 낙관할 수만은 없다고 봤다. 손병두 부위원장은 "위기극복 과정에서의 초저금리·유동성 확대로 인한 금융불안요인 누적도 간과해서는 안된다"며 "고수익·고위험 추구에 따른 금융시장 불안, 상대적으로 규제가 느슨한 비은행권에 누적되고 있는 리스크도 눈여겨 보아야 할 것"이라고 꼽았다.
이날 금발심에서 손병두 부위원장은 금융위의 '포스트 코로나 금융정책 추진방향'을 발표하고 실물경제의 장기·안정적 성장을 위한 금융, 금융산업의 지평확장과 새로운 기회 준비, 양극화 심화 가능성에 대한 촘촘한 대응, 금융위험 요인에 대한 철저한 대비를 하반기 중점 과제로 제시했다.
손병두 부위원장은 "바이오, 의료 등 신성장 산업, 신산업으로의 사업재편 기업, GVC(글로벌 밸류 체인) 변화에 따라 국내로 유턴하는 기업 등에 적극적으로 자금을 공급하겠다"며 "빅테크와 금융회사가 공정하게 경쟁하면서도 금융안정, 소비자보호를 저해하지 않도록 종합적인 관리체계를 마련하는데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또 손병두 부위원장은 "온-오프라인 고객차별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하고 고령층의 디지털 접근성을 개선하는 등 디지털 소외계층에 대한 지원도 확대하겠다"며 "여전사의 과도한 시장성 차입의 위험요소를 면밀히 점검하고 증권사의 파생결합증권 및 채무보증 등과 관련된 단기유동성 리스크 관리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